database.sarang.net
UserID
Passwd
Database
DBMS
MySQL
PostgreSQL
Firebird
Oracle
Informix
Sybase
MS-SQL
DB2
Cache
CUBRID
LDAP
ALTIBASE
Tibero
DB 문서들
스터디
Community
공지사항
ㆍ자유게시판
구인|구직
DSN 갤러리
도움주신분들
Admin
운영게시판
최근게시물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5121 게시물 읽기
 
No. 5121
오픈소스의 발전방향???
작성자
이상호(search5)
작성일
2006-03-21 15:59
조회수
6,167

잊고 있다가 SAPDB 생각이 나서 구글에서 검색하다가 KLDP에서 내용을 찾았습니다. 김주현님 글인데 허락없이 올려서 죄송합니다. 얘기를 듣고보니 확실히 오픈소스의 발전방향은 하나밖에 없단 생각이 듭니다.

 

아울러 상업적인 프로그램도 그렇구요. 논란 거리가 있었는데 그건 접어두고 제가 올리고 싶었던것만 올려봅니다. 그냥 한번 생각해보는 계기는 되겠지요.

--

SAPDB같은 경우는 정책상 오픈소스로 나왔지만 SAP에서 기술지원도 된다고 들었습니다. 물론 기술 지원이 공짜는 아니겠지요. 계속 이야기하지만 엔지니어 불러다가 문제해결하는건 오픈소스라고 해서 불가능한게 아니죠. 원래 오픈소스 수익모델 자체가 서비스에 비중을 많이 두게 됩니다. 엔지니어 불러다가 문제 해결 받는게 상업용 소프트웨어만의 고유권한이라고 생각하시면 안됩니다.

MySQL도 OCP같은 자격증 체계가 있고 교육 커리큘럼도 존재한다는거아셨으면 합니다.

 

오라클 같은 경우도 Technet을 통해서 자체 커뮤니티에서 해결하는 방법도 제시하고 있습니다. 오픈소스에서 뉴스그룹이나 메일링 리스트를 통해서 해결하는 것과 같은 방법이죠.

 

따라서 엔지니어 불러다 문제 해결이 불가능하므로 오픈소스는 못쓴다는 이야기는 틀렸다고 봅니다. IBM이 밀어서 리눅스 채택한 곳 많습니다. 기술지원은 IBM믿고 하는거지요. 오라클도 자사의 병렬 클러스터 서버 리눅스 플랫폼 기반으로 광고하고 있고 자사도 리눅스 기반으로 변경중이라고 광고합니다. 당연히 리눅스 관련해서 오라클 문제점은 해결해줍니다.

 

야후 같은 경우도 야후내에 MySQL관련 전문가도 다수 확보된 상태고 문제 해결시 MySQL AB사 불러다 해결합니다. MySQL 사의 지사가 미국내에도 있거든요.

MySQL 기술 지원이 필요한 곳들은 여기서 엔지니어들 데려다가 문제해결 합니다.

DIY만이 오픈소스의 문제 해결법이라는건 오픈소스가 해커들의 운영체제라는 틀을 깨고 세상으로 나왔을 때 이미 극복되었습니다.

 

오픈소스는 공짜고 아무도 책임 안진다더라 이런 미신을 빨리 타파했으면 좋겠습니다.

 

또 위와 같은 경우는 직접할 필요가 없지요. MySQL측에서도 필요한 기능을 위해 돈을 지불하면 그 기능을 넣어주겠다고 이야기합니다.

예를 들어 Full text index 기능에서 아직 한글등 멀티바이트 지원이 안되고 있는데 국내 대기업에서 꼭 그 기능이 필요하다면 돈을 지불하면 구현해줍니다.

 

설령 개발자가 직접 DBMS코드를 건드려서 수정을 했더라도 그 패치를 제작한 애들한테 보내주면 충분한 검증 과정을 거쳐서 다음 릴리스 때 넣어서 배포합니다.

 

MySQL이나 SAPDB같은 경우는 회사 주도로 개발이 진행되고 엄격한 테스트 장비를 내부적으로 갖추고 자체 테스팅을 거쳐서 내놓습니다. 상용 DBMS와 다를바 없는 방법을 거칩니다. 다만 전략적으로 오픈소스를 채택한 것 뿐이죠.

만약 상용 DBMS로 경쟁하겠다고 나선다면 오라클이나 MS-SQL, Informix, DB2, Sybase 등이 선점한 자리를 쉽게 공략할 수 있을것 같습니까?

차라리 커스터마이징이나 기술지원, 부수적인 모니터링 툴이나 백업툴 판매, 교육등으로 눈을 돌리면 DBMS엔진 자체는 공짜로 뿌려도 좋다는게 이들 기업들의 기본 개념입니다.

 

예로 조립 PC는 AS가 안되거나 힘들다라고 누가 이야기합니다.

그러나 요즘은 PC가 대기업이든 조립이든 상관없이 24시간 AS출장 서비스하는 회사들도 생겨서 문제될게 없습니다.

제품과 고객지원은 분리해서 생각해야 합니다.

오라클도 국내 DBMS컨설팅 회사에서 해결해주는 문제들이 더 많습니다.

엔코아 같은 경우도 오라클 본사랑 직접 관련은 전혀 없어도 대기업들 프로젝트하면 실재로 엔코아의 도움으로 많이 해나가잖아요.

 

컨설팅이나 기술지원도 상품이라는걸 잘보여주는 예라고 봅니다.

이 글에 대한 댓글이 총 3건 있습니다.

멋진 글입니다.

 

오랫만에 긴 글을 끝까지 읽어본 내용이었습니다.

양용성(ysyang)님이 2006-03-21 16:38에 작성한 댓글입니다.

국내에서 유사하게 사업하는 곳을 한번 본것 같은데 PHP로 만든 게시판이었습니다;

무료로 배포하고 설치 도움시 돈을 받는 거였는데 이것도 본지 몇년 됐네요 -_-;

 

기업적인 오픈소스 프로젝트 진행에서 가장 걸림돌은 경쟁사이죠. 경쟁사와 기술격차를 더 넓히지는 못할 망정 경쟁사에 핵심 기술을 오픈하는 셈이 될 수 있으니까요.

그래서 mysql이 듀얼 라이센스를 취하고 있는데 이게 참 영악한 라이센스라고 생각합니다. GPL라이센스로 경쟁사에 제약을 걸면서 오픈소스의 이점은 취하고 상업적 용도에는 커머셜 라이센스를 적용하고 ㅋ;

 

국내의 사례를 모아보는 것도 좋은 거시기일것 같습니다 ㅎㅎ

신기배(소타)님이 2006-03-21 16:59에 작성한 댓글입니다.

이미 대형 IT 회사들은 닫힌소스 제품들도 크로스 라이센스 형태로 지식과 특허를 공유하고 있습니다. 오픈소스 형태를 취하더라도 크게 문제 될 것은 없어보입니다. 오히려 후발주자 측면에서는 유리합니다.

 

저는 요즘 오라클로 먹고 살고 있습니다. 참 아이러니하죠?

그런데 더 절실하게 느끼는게 뭐냐면... IT는 서비스 직종이라는거죠.

 

제품 그 자체보다 그 제품을 얼마나 잘 활용하고 적용할 수 있느냐가 훨씬 중요하다는걸 절실히 느낍니다. 닫힌 소프트웨어이냐 자유소프트웨어인가는 크게 중요치 않은 것 같습니다.

 

 

 

김주현님이 2006-03-21 21:20에 작성한 댓글입니다. Edit
[Top]
No.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5126[안내] 스터디 모임
김장원
2006-03-24
5869
5125무제 (잡담입니다) [2]
임명순
2006-03-23
5788
5122아마존에서 날라온 삼총사 [6]
김주현
2006-03-21
6801
5121오픈소스의 발전방향??? [3]
이상호
2006-03-21
6167
5117전문가 분들이 냉정하게 판단해주세요. [3]
이수환
2006-03-19
6860
5116즐거운 시간이었습니다. [11]
임명순
2006-03-19
6265
5115어제는 다들 잘들어가셨는지요? [6]
양용성
2006-03-18
5976
Valid XHTML 1.0!
All about the DATABASE... Copyleft 1999-2024 DSN, All rights reserved.
작업시간: 0.021초, 이곳 서비스는
	PostgreSQL v16.2로 자료를 관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