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base.sarang.net
UserID
Passwd
Database
DBMS
MySQL
ㆍPostgreSQL
Firebird
Oracle
Informix
Sybase
MS-SQL
DB2
Cache
CUBRID
LDAP
ALTIBASE
Tibero
DB 문서들
스터디
Community
공지사항
자유게시판
구인|구직
DSN 갤러리
도움주신분들
Admin
운영게시판
최근게시물
PostgreSQL Q&A 7667 게시물 읽기
No. 7667
MSDE에 비해 PostgreSQL의 장점은 무엇인가요?
작성자
임재원
작성일
2009-03-30 16:30
조회수
8,791

무식한 질문일 수도 있으나, 많은 개발자들은 오라클과 MS-SQL을 주로 사용하잖아요?


오라클은 공짜 버전이 없어서 글타 치더라도

MS-SQL은 MSDE와 Express 버전이 있어서 공짜로 사용할 수가 있는데요...

왜 PostgreSQL을 다시 배워 가면서 이 DB를 사용할까요?


이 DB를 사용하는 데에는 그만한 이유가 있을 법한데요...

MSDE와 비교했을 때 이 DB의 장점이 무엇인가요?

이 글에 대한 댓글이 총 10건 있습니다.


답변하고는 다르지만...


오라클도 XE버전이 있습니다.
(db용량 무제한, 듀얼코어 이하 cpu 1개, 메모리1기가 제한 버전입니다. - 더 나은 하드웨어라도 저 자원만 사용한다는 의미 )

db2또한 Express 버전이 있습니다.
(db용량 무제한, 듀얼코어 이하 cpu 1개, 메모리 4기가 제한 버전입니다. )


위의 두 무료 버전이 MS-SQL의 Express보다 더 제한이 적다고 볼 수 있습니다.
(MSDE는 db사이즈 2기가, Express는 db사이즈 4기가의 제한이 있어서
성능을 떠나서 큰용량 데이터를 다루는 곳에서 사용못하는 문제점이...)




PostgreSql의 장점은 많이 사용하시는 분이 달아 주시리라 믿고...^^

최하림(opendraft)님이 2009-03-30 16:52에 작성한 댓글입니다.
이 댓글은 2009-03-30 16:54에 마지막으로 수정되었습니다.

그럼 PostgreSQL은 제한이 없는 제품인가요?

아주 초보적인 질문입니다^^;

에헤이야디야(newyyg)님이 2009-03-30 17:11에 작성한 댓글입니다.

오라클에도 공짜 DB가 있었군요...
제대로 알지 못하고 성급하게 잘못된 글을 올려 죄송합니다...


근데...한가지 질문...
오라클은 대용량 데이터베이스밖에 사용해 본 경험이 없어서, 데이터량이 적은 환경에 대한 지식이 짧은데요..
얼핏 듣기로, 사용자수가 얼마 되지 않는 중소업체를 위한 라이센스(30만원 내외였나)가 있지만
그 버전에서는 프로시져나 트리거 같은 기능이 안된다고 하던데...
혹시 XE 버전은 어떤지요?

만약 기존의 기능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면..이 보다 좋은 DB가 없을 듯 한데요..
가르침을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임재원님이 2009-03-30 17:59에 작성한 댓글입니다. Edit

PostgreSQL도 한계는 있습니다.


http://www.postgresql.org/about/


뭐. 한마디로 말해서 시스템의 한계가 PostgreSQL의 한계이지요. ^^


솔직히 DB 비교하는 건 의미 없다고 생각합니다.

말씀하신 DB들도 아주 훌륭한 놈들이고 어떤 면에서는 PgSql 보다 좋은 면도 또는 나쁜 면도 있겠죠.


돈이 많아서 상용을 구입하고 유지보수를 받을 수 환경이고 사용하는데 불만이 없다면 굳이 PgSQL을 쓰라고 할 생각 없습니다.


하지만 상용 수준의 Open Source DBMS를 찾고 있다면 PgSql이 최고라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Linux가 Windows나 다른 사용 OS에 대한 Open source 대안이라고 한다면

PgSql은 DBMS의 Linux입니다.

박성철(gyumee)님이 2009-03-31 01:07에 작성한 댓글입니다.
이 댓글은 2009-03-31 01:09에 마지막으로 수정되었습니다.

MSDE 나 ORACLE 이나 모두 써도 되는 상황이라면 그냥 그거 쓰세요,  PostgreSQL 쓰지 마시고...

PostgreSQL 이란게 리눅스만큼 불편합니다. 왜 굳이 불편한 거를 쓸려고 하십니까.

초보대왕님이 2009-03-31 01:15에 작성한 댓글입니다.
이 댓글은 2009-03-31 01:36에 마지막으로 수정되었습니다. Edit

초보대마왕님...

전 리눅스와 PostgreSQL이 가장 편합니다. ^^

물론 자신이 가장 편하고 쓰기 좋은 것을 쓰라는 말씀이시겠지요. 저도 그 부분에서는 동감입니다.

하지만 Open Source에 대안이 있다는 것만 기억해주십시오.

박성철(gyumee)님이 2009-03-31 01:25에 작성한 댓글입니다.

-- 하지만 Open Source에 대안이 있다는 것만 기억해주십시오

네~, 기억하고 있겠읍니다.
초보대왕님이 2009-03-31 01:36에 작성한 댓글입니다.
이 댓글은 2009-04-01 04:12에 마지막으로 수정되었습니다. Edit

단점: DIY... 문제가 생기면 다 알아서 해결해야하는... 국내에는 관리 해주는 없체가 없는걸로알고 있네요..(혹시 있다면 알려주시길..)


장점: 단점 빼고 다.!!! DIY도 장점인 경우가 있음.!

최정대(whitekid)님이 2009-03-31 10:03에 작성한 댓글입니다.

안녕하세요,


우선 질문하신 내용에 대한 저의 생각을 말씀드리면,


Pg의 단점은 분명합니다. 국내 기업 입장에서는 데이터 플랫폼의 핵심제품인 DBMS에 대한 '보증'을 원합니다. 기업 시스템의 핵심이 데이터이니까요. 현재 Pg가 기업 시장에 많이 포진하지 못한 이유 중에 기능의 제한 - Lack of features 은 분명히 존재하는 장벽이지만 그보다도 돈을 지불하고서라도 '지원'을 받을 만한 곳이 타 상용 DBMS보다 제한적이다보니 도입이 많이 되지는 않았던 것으로 생각합니다. 물론 국내/국외 사정은 많이 다릅니다. 일본같은 경우만 해도 정부기관/사기업에서 Pg에 대한 인지도가 높고, 많이 활용되며 전문적으로 기술지원을 판매하는 회사도 있고... 미국/유럽도 우리나라보다 사정은 좋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반대로 Pg의 장점으로 들 수 있는 부분은, Free!, Open Source!, Easy!, Feature-rich!, Community!... 제 생각으로는 이 정도만으로도 거부할 수 없는(?) DBMS가 되어버립니다. ㅡ.ㅡ; 제품 평가나 프로토타이핑에 돈도 안들고... TCO, ROI의 체감이 분명합니다.(<- 요건 조직마다 다릅니다. 오픈소스에 숙달된 조직은 그렇지만 그렇지 않은 조직은 오히려 필요한 인력비용이나 학습비용이 더 들 수 있습니다.)


또하나 '대용량'에 대한 오해가 주변에 많습니다. A제품은 오픈소스니까 대용량 처리가 어렵고 B제품은 유명한 회사 상용제품이니까 대용량 처리가 된다라는 것은 제 생각엔 100%미신입니다. 대용량의 의미는 아카이빙된 데이터의 전체 사이즈보다는 데이터를 핸들링하는 '활용' 측면의 사이즈가 우선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1PB사이즈의 데이터를 쌓아 놓기만 하고 활용을 안한다면 대용량이란 의미는 극히 적다고 봅니다. Yahoo!, Skype, Hi5, Sony Entertainment ..등등 많은 기업이 Pg를 사용합니다. Google, Yahoo, Facebook, Mixi 같은 회사뿐만 아니라 심지어 NASA같은 조직에서도 오픈소스 DBMS를 사용합니다. 수백 GB, 수백 TB, 수 PB 사이즈의 데이터베이스도 있습니다.


DW전용 제품 중에 Netezza, Paraccel, Greenplum, Aster Database 등이 모두 Pg 코드를 기반으로 수정된 제품입니다.(Pg의 경우 라이선스가 BSD라서 이런 제품이 나올 수 있었던 것이죠.)


데이터플랫폼의 선택은 반드시 PoC와 성능평가 과정이 제대로 이루어져야한다고 봅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활용보다는 특정 벤더의 제품을 눈 감고(?) 선택하는 경향이 많더군요. 조직의 예산, 시스템의 규모, 데이터의 성격 등 모든 요소를 반드시 정리하고 평가한 후 제품의 선정이 된다면 효율적인 개발이 되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희망사항이지만 이렇게만 된다면 많은 공공부문에서 낭비되는 세금이 줄어들겁니다.ㅋㅋ)

김영우님이 2009-04-02 10:00에 작성한 댓글입니다. Edit

와우. 김영우님 정말 글 잘쓰시네요.

군더더기 없이 필요한 말씀은 다 하시고

어디 기고하시는 수준의 글을 댓글로... 최곱니다. ^^


생각해보니 PostgreSQL의 전신인 Postgres가 버클리 대학에서 GIS와 멀티미디어 DB로 사용되었던 것이니 대용량 문제는 애초부터 PgSQL의 영역... ㅎ~

박성철(gyumee)님이 2009-04-02 15:06에 작성한 댓글입니다.
[Top]
No.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7670월별자료 boxplot [1]
chunrima
2009-04-02
7006
7669쿼리좀... [1]
초짜
2009-04-01
7447
7668쿼리문 힌트좀 주세요~ T.T [1]
김연자
2009-03-31
6611
7667MSDE에 비해 PostgreSQL의 장점은 무엇인가요? [10]
임재원
2009-03-30
8791
7666리눅스 배포판에 silent 모드가 없나요? [4]
에헤이야디야
2009-03-30
7123
7665root 계정으로 PostgreSQL 서비스 시작/중지 못하나요? [3]
에헤이야디야
2009-03-28
10096
7664PostgreSQL 자동설치가 가능할까요? [2]
임재원
2009-03-27
7957
Valid XHTML 1.0!
All about the DATABASE... Copyleft 1999-2024 DSN, All rights reserved.
작업시간: 0.024초, 이곳 서비스는
	PostgreSQL v16.2로 자료를 관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