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base.sarang.net
UserID
Passwd
Database
DBMS
MySQL
ㆍPostgreSQL
Firebird
Oracle
Informix
Sybase
MS-SQL
DB2
Cache
CUBRID
LDAP
ALTIBASE
Tibero
DB 문서들
스터디
Community
공지사항
자유게시판
구인|구직
DSN 갤러리
도움주신분들
Admin
운영게시판
최근게시물
PostgreSQL Q&A 8591 게시물 읽기
No. 8591
데이터 베이스를 생성할 때 무의식적으로 설정하는 것
작성자
souler(souler)
작성일
2009-12-27 21:23ⓒ
2009-12-27 21:24ⓜ
조회수
7,706

항상 PgAdmin 을 가지고, 데이터 베이스를 생성할 때 무의식 적으로 아래와 같이 설정하곤 하는데

의미도 모르고 사용하고 있답니다. 어떤 내용/의미인가요?

 

Template 는 항상 template0 으로..

테이블 스페이스 는 항상 pg_default 으로..

이 글에 대한 댓글이 총 2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말씀하신 내용들은 찬찬히 메뉴얼을 읽어보면 대부분 찾을 수 있습니다. 간단히 말씀드리면 template0은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를 생성하면 만들어지고 변경할 수 없는 '순수한' 데이터베이스 템플릿입니다. 반면 template1은 해당 클러스터를 생성한 관리자가 변경 가능한 템플릿이지요. 예를들어, 기본적으로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했을 때  추가적인 객체나 스토어드 프로시저 언어를 포함하고 싶을 때 template1에 변경된 내용을 작성하면 그 이후에 새로 template1을 템플릿으로 만들어진 데이터베이스에 모두 자동으로 반영됩니다. 반면 정말 기본 상태의 데이터베이스를 만들고 싶다면 template0을 템플릿으로 데이터베이스를 만드시면 됩니다.

테이블스페이스도 메뉴얼을 보시면 쉽게 알 수 있습니다. 데이터베이스, 테이블, 인덱스의 테이블스페이스를 지정할 수 있는데 지정하지 않으면 디폴트 테이블스페이스를 사용하게 됩니다. 물론 이 디폴트 테이블스페이스도 설정으로 변경가능하고 DDL에 직접 다른 테이블스페이스를 지정할 수도 있습니다.

김영우님이 2009-12-27 23:52에 작성한 댓글입니다. Edit

어려운 말들이 있지만 찾아 공부하면 이해가 잘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좋을말씀 감사합니다!

souler(souler)님이 2009-12-28 08:08에 작성한 댓글입니다.
[Top]
No.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8597다시 한 번 더 한국어 full text search
김상기
2010-01-06
7339
8594문자열 위치 검색 [3]
이경기
2010-01-04
9114
8592[질문]트리거관한 질문..? [1]
나그네
2009-12-31
7137
8591데이터 베이스를 생성할 때 무의식적으로 설정하는 것 [2]
souler
2009-12-27
7706
8590기본키를 가지고 다른 테이블까지 영향을 주는 방법? [4]
souler
2009-12-27
7553
8589PostgreSQL 한글 설명서에 대해서 [1]
김상기
2009-12-23
8527
8588pg_dump tar 파일 한계 [2]
김상기
2009-12-22
9364
Valid XHTML 1.0!
All about the DATABASE... Copyleft 1999-2024 DSN, All rights reserved.
작업시간: 0.017초, 이곳 서비스는
	PostgreSQL v16.2로 자료를 관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