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부 IT 주연급으로 부상하는 스토리지2부 중앙집중관리 백업 솔루션 NetBackup의 활용3부 통합스토리지 관리를 위한 ARCserve2000의 활용4부 차세대 스토리지, 버추얼 스토리지 IT 주연급으로 부상하는 스토리지인터넷 사용의 폭발적인 증가와 더불어 저장할 데이터의 양도 폭발적으로 늘어나면서 그동안 서버에 밀려 조연에 머물렀던 데이터 저장장치(스토리지)가 점차 서버를 따돌리고 정보산업의 주연으로 부상하고 있다. 전산시스템을 구축하는 기업들이 전사적자원관리(ERP)나 데이터웨어하우징(DW), 그리고 고객관계관리(CRM) 등 대규모 데이터처리가 필요한 시스템을 잇따라 도입하고 있고,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ISP)나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제공업체(ASP) 들이 경쟁력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스토리지 도입을 최우선의 과제로 삼고 있다. 여기에서는 스토리지의 기본 구조와 더불어 기술적인 변화 및 구축 방법론에 대해서 이야기한다.글쪾김찬영 삼성SDS 시스템 컨설턴팅 팀 과장 dasolsa@naver.com인터넷의 폭발적인 증가와 함께 e-경제로 변화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 전개되면서 스토리지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제기되고 있다. 특히 기업의 데이터웨어하우스(Data Warehouse),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의 구축은 더욱 이를 부채질을 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스토리지 시장의 성장은 2000년 하반기 경제 성장 둔화에도 불구하고 한국 시장에서는 가장 두드러진 성장 속도를 보이고 있다. 스토리지의 급격한 성장 속에 고객의 다양한 요구에 부합하는 스토리지 구축을 위한 전문적인 컨설팅을 요하는 경우도 앞으로 발생할 것이다. 스토리지 구축 분야에서 분명한 변화는 NAS(Network Attached Storage)와 SAN(Storage Area Network)의 발전이다. 스토리지의 급격한 증가로 인하여 스토리지를 구축하는데 상당한 기술과 노하우가 필요하게 되었고 이러한 수많은 스토리지를 관리하기 위한 다양한 툴이 등장하면서 치열한 시장 경쟁이 예상되고 있다. 스토리지 소프트웨어는 과거 단순한 마이크로 코드 형태의 소프트웨어 수준을 벗어나 다양한 기능, 전문 스토리지 복사에서부터 원거리에 있는 백업 서버까지 실시간 백업 시스템을 구현하는 재난복구 소프트웨어까지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스토리지 구축을 위한 기본적인 스토리지 아키텍처 및 백업의 기술적 변화를 살펴보고 스토리지 솔루션을 선택하기위한 방법론에 대해서 논의하고자 한다.절실해지는 스토리지 필요성 세계적인 시장조사기관인 미국 데이터퀘스트는 올해 세계 스토리지 시장 규모가 367억달러에 달하고 오는 2003년에는 스토리지 매출이 오히려 서버를 앞지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처럼 스토리지가 세계 정보 산업에서 주요한 위치로 부각된 데에는 몇가지 이유가 있다.우선 전산시스템을 구축하는 기업들이 전사적자원관리(ERP)나 데이터웨어하우징(DW), 그리고 고객관계관리(CRM) 등 대규모 데이터처리가 필요한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기 때문이다. DW나 ERP의 경우 도입 초기에는 용량이 얼마되지 않지만 구축이 완료된 후 운용 과정에서는 처리해야 할 데이터의 양이 2∼3배로 급증하기 때문에 기업 입장에서는 업무 효율성을 위해 스토리지 도입이 최우선의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또한 인터넷 사용의 폭발적인 증가로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ISP)나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제공업체(ASP) 또한 급증가하고 있다. 이들 업체들은 보다 경쟁력있는 인터넷 사업을 전개하기 위해 고객들의 정보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보다 다양하고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려면 이를 충분히 감당할 수 있는 대용량 스토리지가 절실하게 필요하다. 이러한 상황에 대해 시장조사기관인 IDC는 지난해 세계적으로 40만TB(Tera Bytes)가 판매된 스토리지 용량이 계속 폭증하면서 내년에는 이의 3배인 130만TB가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IDC는 스토리지 분야 중 메인프레임이 앞으로 매년 최소 25%, 그리고 개방형 시스템 부문은 100%의 고성장을 달성할 것으로 보고 있다.이처럼 스토리지가 스포트라이트를 받게 되면서 스토리지 업체들과 스토리지 관리 소프트웨어 업체들의 경쟁이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으며, 이들의 경쟁에 따라 기술 또한 한층더 진보해가고 있다.스토리지 접속 방법 DAS, NAS, SAN 기업에서는 E-Commerce, 온라인 트랜잭션,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의존도가 커짐에 따라 관리되고 저장되어야 하는 정보의 양이 많아 숙련된 관리자들에게 조차 위협이 되고 있다.서버가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많은 역할을 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서버의 능력에는 한계가 있다. 만약 서버의 한계를 넘는 많은 사용자들이 정보에 접속하려 한다면 서버에 병목 현상이 발생 될 수 있다. 그래서 많은 회사들이 서버 대신에 RAID 디스크 스토리지, 테이프 라이브러리 등과 같은 저장 장치들에 의존하고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들은 데이터의 온라인 백업과 대용량 데이터의 저장등에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그러나 데이터 센터의 규모가 커짐에 따라 그리고 회사들이 멀티미디어와 같은 데이터를 강도 높게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점점 더 많이 의존함에 따라 전통적인 저장장치 모델들은 더 이상 효과적이지 않게 되었다.스토리지 분야에는 다양한 제품이 나와 있지만 기본적인 개념을 이해하고 스토리지 특성을 파악한 다음 스토리지를 구입하여 사용한다면 여러분의 기업환경에 최적의 가용성, 확장성, 신뢰성을 보장하여 투자대비 높은 효율을 얻을 것이다. 이제 여러분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전통적인 스토리지 접속 방법인 DAS(Direct Attached Storage)와 LAN을 통해 스토리지를 접속하는 NAS(Network Attached Storage), 그리고 SAN(Storage Area Network)을 알아보자.DAS(Direct Attached Storage)<그림 1>에 나타난 DAS는 서버와 외장형 스토리지 사이를 전용의 케이블로 직접 접속하는 것으로 전통적인 접속방법이며, 현재도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방법이다. 만약 서버가 유닉스 서버거나 NT 서버와 같은 오픈시스템(Open System)이면 SCSI 또는 파이버 채널(Fibre Channel) 방식으로 접속하고 메인 프레임(Main Frame)을 외장형 스토리지에 접속하고자 한다면 ESCON 또는 패러렐 버스(Parallel Bus) 방식을 사용하여 접속하면 된다. 각 방식을 사용했을 때의 특징은 <표 1>에 정리하였다.DAS 방식에서는 스토리지에 따라 지원되는 접속 방식과 접속 포트의 개수가 다르며 접속 지원되는 서버 종류도 다르다. 스토리지에 따라 다양한 오픈 시스템과 메인 프레임을 동시에 접속 지원하는 스토리지가 있는 반면 한가지 종류의 서버 밖에 접속하지 못하는 스토리지도 있다. 그리고 SCSI, 파이버 채널, ESCON 등 다양한 접속 방법을 지원하는 스토리지도 있는 반면 SCSI 또는 파이버 채널 한가지 만을 지원하는 스토리지도 있다. 또한 접속 포트수가 많아서 여러 대의 서버를 동시에 접속할 수 있는 스토리지가 있는 반면 접속 포트수가 접속 서버의 대수가 1~2 개 정도로 제한되는 스토리지도 있다. 이처럼 스토리지의 종류는 다양하고 기술도 천차만별이므로 도입하려는 환경과 향후 계획에 따라 적합한 스토리지를 충분히 비교 검토하여야 한다. 외장형 스토리지는 접속된 서버에 스토리지 내의 모든 저장 영역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이 경우 서버가 다른 서버에 할당된 영역에 침범하여 보안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DAS 방식에서는 스토리지 설정시 접속된 서버들이 스토리지에 각자 자신들에게 할당된 영역을 가지며 다른 서버에 할당된 영역을 쓰지 못하도록 스토리지를 설정한다. 물론 여러 대의 서버가 같은 스토리지 영역을 공유하도록 할 수는 있다. 그러나 여러 대의 서버가 동일 파일 시스템을 문제없이 공유하도록 보장해주는 locking 및 Consistency 기술이 없는 현재의 상태로는 같은 스토리지 영역을 여러 대의 서버가 공유하도록 하는 것은 아무 이득이 없을 뿐만 아니라 보안의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있기 때문에 현재로는 쓰이지 않는 방법이다.DAS 방식의 장점은 전용의 라인을 사용하기 때문에 주어진 성능이 보장되며 안정성도 뛰어나다. 단점은 파일 시스템을 공유하도록 하는 기술이 없기 때문에 파일 공유가 안된다는 단점이 있으며, 구성의 확장성 및 유연성도 상대적으로 떨어지고 대량의 서버 구축시 관리 비용이 증가한다는 단점이 있다.NAS(Network Attached Storage)<그림 2>의 NAS 방식은 서버가 LAN을 통하여 전용 파일 서버의 스토리지에 접속한다는 개념이다. 즉 서버와 파일 서버사이는 TCP/IP 를 기반으로 한 LAN으로 접속이 되고 파일 서버와 스토리지 사이는 SCSI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한 SCSI 또는 파이버 채널로 접속된다.업체에 따라 전용 파일 서버와 스토리지가 한 캐비닛에 구성된 경우도 있으며 전용 파일 서버와 스토리지가 별도의 장치로 구성되는 경우도 있다. 일반적으로 중소 규모의 캐비닛으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으며 대용량의 NAS 장비는 전용 파일 서버와 스토리지가 별도로 구성된다. 한 캐비닛의 NAS는 설치가 용이하고 간편한 장점이 있는 반면 스토리지 용량의 확장이 제한되고 스토리지 사용 용도가 NAS로 한정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전용 파일 서버와 스토리지가 별도로 구성되는 경우 설치가 복잡해지는 대신 스토리지 용량의 확장성이 좋으며 스토리지가 DAS, NAS, SAN 등의 용도로 동시에 자유자재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NAS방식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은 서버의 NFS와 CIFS를 사용하여 파일을 공유한다. 즉 파일서버는 NFS(Network File System : 유닉스의 파일 공유 프로토콜) 서버 프로세서가 탑재된 유닉스 머신 또는 CIFS(Common Internet File System : 윈도우의 파일 공유 프로토콜) 서버 프로토콜이 탑재된 윈도우 NT 또는 윈도우 2000 서버와 같은 역할을 한다. 다만 범용 서버와 전용 파일 서버의 차이점은 유닉스나 윈도우 NT와 같은 범용 운영체제를 사용하지 않고 NFS와 CIFS와 같은 파일 서비스에 특화된 전용 운영체제를 사용하여 파일 서비스의 성능이 뛰어나다는 점과 파일서버로서의 가용성을 확보하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NFS 프로토콜과 CIFS 프로토콜이 커널의 동등한 계층에 위치하여 같은 파일시스템을 사용하여 유닉스 머신과 윈도우 NT 머신 사이에 파일공유가 가능하다는 점이다.NAS의 장점은 파일 공유이다. NAS의 파일 서버가 NFS와 CIFS 프로토콜을 통해 여러 애플리케이션 서버들 사이에 파일을 공유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다. NAS는 현재 존재하는 파일공유 솔루션 중 가장 안정적인 솔루션이다. NAS의 파일 서버가 파일시스템을 한 곳에서 관리하여 DAS에서 여러 서버들이 파일을 공유하려 했을 때 나타났던 Locking과 Consistency 문제는 생기지 않는다. NAS의 단점은 NAS가 파일 서비스에 특화 되어 있기 때문에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는 온라인 트랜잭션 환경에서는 DAS 만큼 성능이 나지 않는다는 점이다. 또한 LAN과 채널로 접속 단계가 많아서 장애가 일어날 수 있는 포인트가 많아지는 것과 LAN이 불안정할 경우 많은 문제점이 나타날 수 있다는 점과 사용빈도가 높아질수록 사용자의 네트워크에도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현재 LAN은 기술이 상당히 성숙되어 있고 기가비트 이더넷 등 성능도 많이 향상되어 최근에 최신 기술로 LAN을 구성한 곳이라면 LAN이 문제가 되어 NAS를 쓰지 못하는 곳은 없으리라 생각된다. NAS의 장단점을 종합해 보았을 때 NAS는 웹 호스팅 및 CAD/CAM과 같은 파일 공유가 필요한 파일서비스에 가장 적합한 솔루션이라고 생각된다.SAN(Storage Area Network)<그림 3>의 SAN 방식은 서버와 스토리지 사이에 파이버 채널 스위치를 넣은 구성으로 스토리지에 대한 고속 액세스와 일원적인 관리, 그리고 확장성과 내장애성을 높이는 것이 목적이다. SNIA(Storage Networking Industry Ass ociation)의 용어 정의에 따르면 “대용량의 데이터를 연결된 서버에 관계 없이 원거리에 분산된 저장 장치 사이에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해주는 초고속 통신망”이라고 한다. SAN 환경에서 저장장치는 호스트 서버와의 주종 관계에서 벗어나 여러 개의 서버와 공유되며 호스트 서버에 의존하지 않고 저장 장치 간(Any-to-any)에 운영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디스크나 테이프 장비의 공동사용, 복제 기능과 고가용성을 위한 클러스터링을 가능하게 한다.SAN 방식의 장점은 DAS에서 스토리지당 접속 서비스의 증가, 서버당 접속 스토리지 수의 증가, 관리 비용의 절감 등을 목적으로 채널 접속에 네트워크의 개념을 도입한 것이다. 사용자 네트워크와는 별도의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므로 사용자 네트워크 부하를 줄이고, 구성의 유연성, 확장성, 가용성이 뛰어나며, 스토리지 장비를 한곳에 모아둘 수 있고, 모든 서버들을 백업하기 위해 공동의 자동화된 테이프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자원을 통합할 수 있어 스토리지 통합에 따른 관리 비용 절감 효과가 크다. SAN은 현재 세간의 관심사로 향후 스토리지의 구축방향이 통합관리 되어지는 형태로 구성될 것으로 보인다. SAN 방식의 단점은 별도의 백엔드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비용이 증가하여 고가라는 점과 구성이 복잡하다는 것이다. 이해를 돕기 위해 DAS, NAS, SAN에 대한 요약 비교한다면 <표 2>와 같다. 스토리지 기반 기술채널과 네트워크전통적으로 호스트 컴퓨터는 스토리지와 사이에 Parallel bus & Tag, ESCON, SCSI와 같은 채널 접속을 통해 통신을 해왔다. 이러한 채널 기술들은 호스트 시스템과 주변기기들 사이에 고정된 접속을 제공했다. 이러한 정적인 접속은 미리 오퍼레이팅 시스템에 정의 되어 있고 매우 적은 오버헤드만 가지고도 대용량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었다. 이것은 전송 프로토콜과 물리적인 인터페이스와의 밀접한 통합으로 가능하였다. 결과적으로 최소한의 프로토콜 오버헤드가 정적(Static)으로 정의된 기기들과의 통신을 하기 위해 필요하였다. 채널 기술의 몇 가지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쪾고성능쪾프로토콜 오버헤드 작용쪾정적(Static) 구성 쪾짧은 도달 거리 쪾단일 시스템 안에서의 접속반면에 네트워크 기술은 더 유연하고 원거리 접속 능력을 제공한다. 대부분의 네트워크는 클라이어언트와 서버 시스템 사이에 접속을 제공하고 기기들 사이에 다양한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와 같은 네트워크의 간단한 예가 바로 여러분이 사무실에서 사용하는 PC들간을 연결하는 네트워크일 것이다. 사무실에서 사용하는 네트워크는 각 PC에 파일 서버, 프린터, 서버 기반의 애플리케이션, 그리고 인트라넷 등 다양한 접속을 제공한다. 이러한 유연성은 필연적으로 많은 프로토콜 오버헤드와 성능저하를 야기한다. 네트워크 기술의 몇 가지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쪾채널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성능쪾채널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프로토콜 오버헤드쪾동적(Dynamic) 구성쪾원거리 도달 능력쪾다양한 시스템 사이에 유연한 접속제공네트워크 효율을 높이는 파이버 채널 파이버 채널은 엔터프라이즈 환경 또는 캠퍼스 환경에서 SCSI의 한계를 극복하고 서버와 스토리지 디바이스 사이에 데이터를 고속으로 전송하는 실용적이고 경제적인 방법을 제공해 준다. 파이버 채널은 전통적인 네트워크의 장점 - 원거리 접속능력, 동적 구성, 유연한 시스템 접속 능력을 취해 상위레벨에 구현하였고, 채널의 장점 - 낮은 프로토콜 오버헤드, 고성능을 취해 전송 계층에 구현했으며 같은 인터페이스상에서 FDDI, SCSI, HIPPI, IP와 같은 다중 프로토콜을 매핑하게 해준다. 이러한 기능을 가지고 파이버 채널은 고속 데이터 전송과 적은 지연시간 그리고 여러 이기종 컴퓨터와 주변기기의 접속을 가능하게 해준다.파이버 채널 표준은 다른 네트워킹 아키텍처와 비슷한 계층적 통신 아키텍처이다. 각 파이버 채널 스택상의 각 레벨은 특정한 기능을 제공한다. <그림 4>는 파이버 채널의 각 계층별 기능 설명도이다.쪾FC-0 가장 낮은 계층은 FC-0 계층으로 다양한 데이터 전송 속도에 대한 케이블, 커넥터, 트랜스미터, 리시버를 포함한 미디어의 물리적인 특징을 정의한다.쪾FC-1 직렬전송에 필요한 클럭 정보를 가진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8B/ 10B 인코딩/ 디코딩을 포함한 전송 프로토콜을 정의한다. 또한 에러 모니터링, 링크 관리, 낮은 수준의 흐름제어가 이 계층에서 이루어진다.쪾FC-2시그널링 프로토콜이라고도 불리우며 데이터가 두 포트사이에서 전송되는 규칙과 다양한 클래스 서비스들을 제어하는 메커니즘 그리고 데이터 전송의 순서를 관리하는 방법)을 정의한다.쪾FC-3아래와 같은 보다 진보된 기능을 위해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Striping : 하나의 정보를 다중링크를 통해 전송하여 보다 높은 대역폭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 LAN에서의 Etherchannel 또는 Trunk와 비슷한 기능임. Hunt group : 가상의 대표 주소에 대해 여러 포트가 응답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 LAN의 레이어 4 스위치의 가상 IP를 이용하는 것과 비슷한 기능임.멀티캐스터 : 하나의 정보를 여러 개의 목적포트로 전송하는 기능, 이 기능은 브로드캐스트 기능을 포함함.쪾FC-4 FC-4 계층은 SCSI, IP와 같은 현재 존재하고 있는 다양한 프로토콜을 파이버 채널에 통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FC-4계층은 파이버 채널 구조의 가장 상위 계층으로 파이버 채널 위에서 실행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정의하고 상위 프로토콜이 하위 파이브 채널 계층으로 매핑 되기 위해 따라야 하는 규칙을 정의한다. 파이버 채널은 네트워크 프로토콜과 채널 프로토콜을 모두 잘 수용한다. 아래에 현재 FC-4 계층에서 지원되거나 지원되도록 제안된 프로토콜을 나열하였다. 이중 SAN의 구현을 위해서 업계에서 채택하고 있는 것은 SCSI FCP(SCSI-3 파이버 채널 Protocol)이다. 쪾FC-4에서 지원되는 프로토콜·SCSI(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SBCCS(Single Byte Command Code Set Mapping)·IPI(Intelligent Peripheral Interface)·HIPPI(High Performance Parallel Interface Framing Protocol)·IP(Internet Protocol)·ATM(Asynchronous Transmission Mode)·IEEE 802.2파이버 채널 인터페이스를 위한 토폴로지쪾Point-to-Point기기 사이에 네트워크 장비를 거치지 않고 일대일로 바로 접속하는 것으로 <그림 5>에 나타내었다.쪾FC-AL(파이버 채널 Arbitrated Loop) Arbitrated Loop에서는 루프의 소유권이 Initiator(일종의 컨트롤러)에 의해 중재(arbitrate) 되어 동시에 소유권을 가진 두 노드사이에서만 통신이 가능하다. 각 Arbitrated Loop는 최대 126개의 노드를 가질 수 있고 데이터는 루프를 따라 한 방향으로만 흐를 수 있다. <그림 6>에 FC-Al 토폴로지를 나타내었다.쪾Fabric패브릭이란 스위칭이 되어 동시에 N-to-N 접속이 가능한 파이버 채널 토폴로지이다. 스위치가 파이버 채널 토폴로지를 구현하는 기반 장치이다. <그림 7>에 패브릭 토폴로지를 나타내었다효율성, 편의성, 안정성으로 시장을 다져가는 SAN 최근 SAN 환경 기반의 스토리지 및 스위치 장비의 관리소프트웨어들이 단순 인터페이스 수준에서 통합 모듈로 발전하고 있으며 여러 가지 장비에 대한 동시 관리기능이 향상되면서 보다 많은 장비를 단일 포인트에서 관리하는 기능이 지원되고 있다. 이처럼 SAN은 기존 서버와 클라이언트, 또는 서버와 서버 간에 통신을 통한 상호 자원공유 및 업무 분담을 위한 TCP/IP 기반의 네트워크와는 달리 서버와 스토리지, 그리고 스토리지와 백업장치 같이 일반 사용자가 접근하거나 인지하고 있지 않은 장비들 사이의 네트워크며 프로토콜로서 상호간 통신을 가능케 한다. 따라서 SAN은 그동안 인프라 스트럭처에서 가장 업무부담이 많았던 서버와 TCP/IP 기반의 네트워크의 부하를 줄여준다. 때문에 기업에서는 더 많은 정보를 활용하고 보호할 수 있게 됐었다. 물론 SAN은 아직은 표준화 논쟁이 결론을 맺지 못하고 있으나 SAN 구축을 통한 스토리지관리 효율성 증대, 시스템 구성의 편의성, 높은 안정성과 손쉬운 확장성 등의 장점이 부각돼 본격적인 시장이 형성되고 있다. 그러면 SAN 장비와 관리소프트웨어에 대해서 알아보자.SAN에 사용되는 장치 또는 장비SAN 구축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장비들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쪾GBIC(Gigabit Interface Converters)데이터 센터내의 거리는 동축(Twin-ax Copper) 회로로도 지원 가능하여 많은 허브와 HBA는 동(Copper)인터페이스로 되어 있다. 이때 GBIC와 MIC(Media Interface Converters)를 동 인터페이스에 삽입하여 광 인터페이스로 바꾼다.쪾GLM(Gigabit Link Modules)GLM은 동 인터페이스 및 파이버 인터페이스로 제공하는 탈착과 부착이 가능한 모듈이다. GLM은 직렬화/ 역직렬화 기능을 내장하고 있으며 HBA 접속을 위한 매체 독립의 병렬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다. 이를 사용하여 사용자들은 접속 인터페이스를 광(Optic)과 동(Copper)으로 쉽게 변경할 수 있다.쪾HBA(Host Bus Adaptors)HBA는 SCSI HBA나 LAN의 NIC(Network Interface Card)와 비슷한 역할을 하는 파이버 채널 액세서리이다. 대부분의 HBA는 GLM(Gigabit Link Module)이나 GBIC(Gigabit Interface Card)를 사용한다. 일반적인 HBA는 파이버 채널 프로토콜 프로세싱과 호스트와의 I/O를 관리하기 위한 파이버 채널 ASIC이 내장되어 있다.쪾허브파이버 채널 허브는 기본적인 접속 방식에 있어 LAN 허브와 비슷하다. 그러나 파이버 채널 허브는 허브 내에 다중의 독립적인 루프를 가질 수 있다는 점에서 LAN 허브와는 다르다. 그리고 이 루프는 중재 루프이다. 허브내의 루프는 일단의 노드 그룹에 포트 접속을 포함시켜 만들어진다. 루프는 루프상에 있는 모든 기기들이 루프를 유지하는데 참여하기를 요청한다. 만약 노드가 접속해서 떨어져 나가면 떨어져나간 노드는 루프에서 제외 된다. 정의된 루프 조합은 Configuration이라 불리운다. 그리고 허브의 Configuration은 허브상에서 운영하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제어되고 대부분이 웹 기반의 소프트웨어에 의해 액세스할 수 있다. 현재 허브 업체로는 Vixel, Gadzoox등이 있다.쪾스위치파이버 채널 스위치도 역시 LAN 스위치와 비슷해 보인다. 그러나 기능과 동작 메커니즘은 전혀 다르다. 파이버 스위치는 스위치에 연결된 모든 기기들에게 접속 패브릭을 제공한다. 다중 관리 프로토콜이 트랜스포트의 최상위 계층에 위치하고 포트들은 Zone으로 그룹화 된다. 그리고 여러 프로토콜(IP, SCSI등)이 FC스위치를 통해 라우팅된다. 대부분의 스위치들은 Point-to Point, FC_AL, 패브릭을 지원한다. 스위치는 주어진 포트를 다른 포트로 바로 연결해준다는 면에서 루프를 통해 연결된 허브와 다르다. 즉 루프와 같은 중재기능이 필요 없다는 뜻이다. 즉 스위치에서는 루프에서의 중재와 같은 오버헤드가 없으므로 더 많은 노드를 붙여 더 많은 대역폭을 활용할 수 있다. 스위치는 기기접속 패브릭을 위해 제공된다. 이러한 스위치를 통해 한 노드는 다른 모든 노드를 볼 수 있으며 다른 노드들에 바로 연결될 수 있다. 스위치 업체는 Brocade, McData 등이 있다.쪾브리지브리지는 파이버 채널과 SCSI 사이의 변환을 해주는 기기이다. 이는 기기의 인터페이스가 SCSI에서 파이버 채널로 완전히 넘어가는 과정에서 임시적으로 필요할 뿐이다. 현재 브리지 업체는 Crossroads, Chaparre 등이 있다.SAN에서의 서비스SAN은 다음과 같은 작동 메커니즘으로 구성된다. Device Discovery패스트-와이드 디퍼렌셜 케이블상에서 SCSI 이니시에이터에 의한 스토리지의 발견은 이니시에이터가 15개의 타겟 ID에 대해 ID번호를 하나씩 증가시키면서 중재/선택/테스트의 과정을 통해 스토리지를 찾는 잘 정의된 프로세서이다. 이러한 탐색을 통해 오퍼레이팅 시스템상의 디바이스 드라이브는 발견된 기기에 대해 I/O를 발생시킬 수 있다.디바이스 드라이브에서 병력 SCSI 다중 이니시에이터의 거리제한 및 접속성 제한이 없다면 디바이스 드라이브는 일반적으로 발견된 디바이스가 드라이브에 단독으로 소유되는 것으로 가정한다.보유/해제(Reserve/Release) 메커니즘은 스토리지 디바이스에 대해 다중 이니시에이터 제어가 필요한 클러스터링 환경을 위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 메커니즘은 매우 정적이어서 간단한 서버 페일오버의 용도로 밖에 사용할 수 없다.파이버 채널 스위칭은 서버/스토리지 통합과 스토리지 자원의 관리에 대한 요구를 만족시켜야 한다. 디바이스 및 경로의 공유는 훨씬 동적이다. 병렬 SCSI가 짧은 거리의 동선상에서 16개의 타켓을 가진 어드레스 도메인상에서 동작했다면 파이버 스위칭은 광케이블에 의해 지역적으로 분산된 환경에서 16,000,000개의 어드레스를 가진 도메인상에서 동작한다. 그래서 병렬 SCSI에서 사용하는 폴링 기법에 의한 디바이스 발견 방법은 스위치 패브릭의 요구를 만족시키지 못한다.스위칭 패브릭을 지원하는 HBA에 의해 사용되는 디바이스 드라이버는 네임서버의 서비스를 이용하여 디바이스 발견을 한다. 네임서버는 스위치에서 지원하는 기능으로 잘 알려진 패브릭 어드레스를 통해 패브릭상의 모든 노드에 액세스 할 수 있도록 한다. N-포트가 패브릭에 접속되면 WWPN(World-Wide Port Name)과 FC-4에 의해 지원되는 Protocol(SCSI)이 네임서버에 등록된다. 드라이버가 디바이스 발견을 할 때 함께 등록된 모든 SCSI기기 목록에 대해 네임 서버에 질의한다. 드라이버는 등록된 각 기기에 로그인하려 할 때 이 목록을 이용한다. 이런 방식에서 패브릭 디바이스 드라이버는 모든 로그인된 스위치에 접속된 스토리지 포트를 발견한다.어드레싱과 라우팅패브릭 스위치에 접속된 기기의 포트에는 64bit 식별자인WWPN이 할당되어 있다. WWPN은 공장에서 호스트버스 어댑터(Host Bus Adaptor)가 제조될 때 정해진다. 참고로 ANSI 표준에서는 WWPN 주소를 정의하고 있으나 업계에서는 일관되게 정의되지 않고 있다.N-Port(서버 또는 스토리지 장치)가 패브릭에 접속될 때 N-Port와 스위치의 F-Port사이에 로그인 과정을 거친다. 이 과정을 통해 기기들은 Cos(Class of Service), 흐름제어규칙, 패브릭 어드레싱과 같은 동작 인수들에 대해 결정한다. N-Port의 패브릭 어드레스는 스위치에 의해 할당되어 N-Port로 보내진다. 이 값은 N-Port가 내보내는 프레임에서 SI(Source ID)가 되고 N-Port로 들어오는 Frame의 DID(Destination ID)가 된다.물리적인 어드레스는 스위치와 포트를 식별하는 한 쌍의 숫자로 S, P 포맷을 하고 있으며 S는 스위치 도메인(Switch Domain) ID와, P는 도메인상의 물리적인 포트와 관계되는 값이다. N-Port의 물리적인 어드레스는 링크가 한 스위치 포트에서 다른 스위치 포트로 옮겨질 때 변경된다. 그러나 N-Port의 WWPN은 변경되지 않는다. 네임서버의 서비스를 이용하여 N-Port는 자동으로 패브릭 어드레스의 변경에 적응한다.로그인의 최상의 레벨은 프로세서 로그인이다. 이것은 노드들 상에서 상위 레벨의 프로토콜사이의 연결을 할 때 사용된다. 예를 들어보면 HBA와 스토리지 파이버 포트 사이에 SCSI FCP 레벨에서 발생하는 로그인 프로세스가 그 예가 될 수 있다.SAN에서는 일반적으로 클래스 2와 클래스 3의 두개의 서비스 클래스(CoS : Class of Service)가 사용된다. 클래스 2는 Acknowledged Connectionless Service를 제공하고 클래스 3은 Unacknowledged Connectionless Service를 제공한다. 클래스 2를 이용하는 디바이스를 위해서 종단 포트들 사이에 세션을 맺고 그들 사이에 사용할 흐름제어 규칙을 결정하는 상위 레벨의 N-Port 로그인 프로세스가 또한 있다. 현재의 HBA와 드라이버 솔루션들은 클래스 3을 사용한다.Zonning스위치상에서 같은 자원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노드들의 집합을 Zone이라고 부른다. Zone은 루프와 매우 비슷한 모습을 띤다. Zone 구성은 스위치에서 웹기반 GUI 소프트웨어에 의해 관리되고 실시간 변경이 가능하다.LUN-masking현재 스위치에서 개발중인 기능주의 하나가 LUN-masking이다. LUN-masking은 SCSI Target을 여러 LUN(Logical Unit Number)으로 분할하여 LUN 집합의 일부가 다른 Zone에 존재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이다. LUN-masking의 목적은 대용량 스토리지를 한 호스트에서만 사용하기 보다는 분할하여 여러 호스트에 의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SAN 관리 소프트웨어파이버 채널의 관리많은 회사들이 분산 IT 구조 안에서부터 데이터 스토리지의 중앙 집중 관리의 개념으로 돌아서고 있다. 스토리지 관리는 광범위한 시각이 필요하며 IT 관리자는 전체를 구성하는 부분 뿐만 아니라 전체 사업을 봐야 할 필요가 있다. 파이버 채널 네트워크는 분산 구조의 성능과 효율성, 중앙 집중화된 데이터 스토리지의 신뢰성과 관리의 용이성을 제공하고 파이버 채널 디바이스는 개별적으로 그것들을 관리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이제 스토리지는 서비스를 전달하고 데이터 자산을 보호하는 시스템으로 보여야 한다. 이 시스템의 적절한 관리는 높은 데이터 접근 가능성과 향상된 수행, 완전한 데이터 보안, 적절한 가격의 스토리지 확장을 제공하여 준다. 스토리지 시스템은 on-line 스토리지, near-line 스토리지, 구조적 스토리지, 백업 스토리지로 구성되어 있다. 스토리지 관리 소프트웨어는 기업의 데이터 스토리지 전략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데이터를 요구되어진 요소들 중으로 이동 시킨다. 즉 스토리지에서 응용시스템으로 정보전달 뿐만 아니라 백업시스템으로 전달 등을 담당하고 있다. 파이버 채널 디바이스는 관리를 위하여 SNMP와 SCSI Enclosure Standard(SES)를 사용한다. 파이버 채널 기준은 IP상의 SNMP를 지원하거나 직접 파이버 채널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SES는 SNMP와는 비슷하나 SCSI만을 사용하는 스토리지 디바이스로부터 정보를 얻기 위해 디자인 되었다. 스토리지 디바이스로부터의 전형적인 정보는 제조자의 이름, 어떤 슬롯의 점유 유무 상태, 냉각과 파워 공급을 포함하고 있다.중앙 집중된 스토리지는 관리를 단순화한다. 파이버 채널 스토리지가 마치 중앙 집중화 되어 있고 물리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것처럼 보이게 한다. 파이버 채널은 수행성, 신뢰성, 빠른 데이터 접근과 전송, 관리화된 스토리지와 스토리지 네트워크로써 중요한 비즈니스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여 분산된 스토리지를 스토리지 관리 소프트웨어를 통하여 중앙 집중적으로 관리를 할 수 있다. 이런 스토리지 통합관리를 통하여 기업에서는 투자에 대한 비용의 최소화와 함께 수많은 이익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그림 9>는 스토리지관리 아키텍처로 관리를 위해서는 파이버 채널 및 업체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정보를 가지고 스토리지를 관리할 수 있다.관리 소프트웨어 개념SAN을 이용하는 소프트웨어는 <그림 10>과 같이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으며 IT 분야는 다이나믹하고 복잡한 컴퓨팅 환경을 끊임없이 관리하기를 원하고 시스템 관리의 목적은 기업환경의 복잡성을 단순화 및 통합화로 업무의 질을 높이는데 기여하고 있다.다음은 스토리지 관리 부문에서 사용되어지는 관리 요소들이다.쪾성능 관리 : 성능의 허용 가능한 수준을 유지하기 위하여 시스템의 다양한 면을 측정하고 쓸모 있게 만든다.쪾구성 관리 : 시스템 컴포넌트의 구성요소를 유지한다.쪾계정 관리 : 통신 통로와 시스템 컴포넌트상의 로딩의 수치를 유지한다.쪾결함 관리 : 시스템 결함을 발견하고, 기록하고, IT관리자에게 알린다.쪾보안 관리 : 권한이 부여되 사람만이 접근할 수 있게 한다.IT분야에서는 정보를 모으고 그것을 도표화하고, 상황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 결과를 제시하고, 컴포넌트를 제어하기 위하여 관리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전사적 컴퓨팅을 관리해야 한다.SAN 통합관리SAN 환경에서 스토리지 시스템들을 관리하는데 필요한 요소들은 공유버스 방식의 스토리지를 관리하는데 필요한 요소들과 차이가 있다. 그 첫번째 관리요소로서 스토리지 시스템은 네트워크상의 단일 제어 지점으로부터 관리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스토리지를 관리 및 모니터링을 할 수 있다. 이를 지원하는 제품으로는 Veritas SANPoint Control, EMC Control Center, Hitachi GraphTrack, HP Storage manager dm, IBM StorWatch등이 있다.I/O성능 최적화SAN 환경에서 스토리지 채널에 있어서 전체적인 IO의 가용성 향상으로 보다 빠른 작업을 수행하고, 최상의 효율성과 성능을 지능적으로 관리하고 지원되어야 한다. 파이버 채널로 구성된 스토리지 부문에서 채널에 대해 IO성능향상, 자동 에러 탐지, Failover 기능과 다른 데이터 경로로 IO를 재할당하여 중단 없는 애플리케이션 수행되도록 하는 솔루션을 적용해야 한다. EMC의 Power Path는 EMC Symmetrix와 연계하여 운영된다.데이터 복제데이터 복제는 정보시스템에서 갑작스런 장애에 대해서 신속한 복구가 가능하도록 도와 준다. 이는 기본적으로 로컬(Local) 복제와 리모트(Remote) 복제로 구분할 수 있으며, 복제 방식에 따라 동기식, 비동기식 방식이 있다. 동기식 복제 방식은 볼륨 단위의 실시간 데이터 복제 솔루션으로 높은 수준의 데이터 정합성을 제공하고 데이터 손실 없으며 구성이 비교적 단순 신속한 복구가 가능하다. 이는 거리 거리, 통신라인 종류 및 수, Write율, Write 블럭 크기 등에 따른 성능 고려가 요구된다. 비동기식 방식은 원거리 센터간의 실시간 데이터 복제 솔루션으로 프러덕션 애플리케이션의 성능보호 및 원격 복구센터에서의 데이터 정합성 검증이 가능하며 비동기 복제는 전송되는 자료에 Time-stamp, Consistency 번호 정보들을 함께 제공하여 비동기 복제방식에서 일어날 수 있는 데이터 비정합성의 우려를 100%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복제를 제공하는 솔루션 EMC TimeFinder, SRDF, Hitachi HRC, HXRC, IBM PPRC, XRC, VERITAS Volume Replicators 등이 있다.백업관리 소프트웨어스토리지관리 소프트웨어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스토리지속에 들어 있는 정보를 어떻게 가용한 상태를 유지관리 하느냐 하는 문제다. 이에 대한 해답은 바로 백업 소프트웨어에 있다. 여기에서 백업관련 소프트웨어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살펴보고자 한다. 백업 관리의 기본 개념은 유사시 장애발생 시점의 신속한 복구를 위하여 실행되는 보관작업 통제, 정보시스템의 기간 요소인 시스템(H/W, S/W 및 N/W),데이터, 애플리케이션 및 데이베이스를 주 대상으로 하고, 운영 인력의 사업 기능 등의 포괄적 정보 기술 환경을 포함하여 정보시스템 운영상에 발생한 장애에 대처해야 한다. 그리고 사용자에게 신속한 정보시스템 서비스를 재개하기 위해서 작업 및 장애 유형별로 복구 대상 및 범위를 정확히 판단하여 정상 운영 상태로 회복하여 장애의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어야 한다. 또 정확한 복구를 위해서는 정보시스템 자원의 요소별로 적절한 시점에 필요로한 유형에 따라 백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기업 환경에서 정보 요구량이 많아지면서 백업을 위한 데이터의 양도 폭발적으로 많이 늘어 나고 있다. 이에 대한 기본적인 인프라 구조를 고려해야만 한다. 최적의 인프라 구조와 백업 솔루션이 하나가 될 때 정보시스템을 원활하게 운영할 수 있는 모태가 된다. 백업 방식은 다음의 몇 가지 방식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쪾서버와 백업 장치의 직접 접속을 통한 백업방식 데이터의 양이 적고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가용성 요구가 적은 90년대 초반의 백업 형태로 매우 단편적인 백업방식이다. 이는 서버별로 별도의 백업미디어를 가지고 있어 다량의 서버 관리시 관리가 상당히 불편하고 백업/복구 정책의 구현이 어렵다. 운영체제 차원에서 지원이 되고 일반적인 소트웨어 업체들이 지원하는 방식이다.쪾중앙집중백업방식(Public Network사용)일반 유저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관리의 편의성으로 인하여 90년 중반까지 선호되었다. 전용 백업 서버에서 다른 모든 네트워크 클라이언트 데이터를 백업했는데 이는 기간업무 네트워크를 사용하기 때문에 업무 네트워크에 상당한 부하를 주어 백업 시간이 길고 데이터베이스 백업에 불합리한 단점이 있었다. 관련 업체 제품에는 Veritas NetBackup, 레가토 Networker, HP OmniBack 등이 있다.쪾중앙집중백업방식(Private Network사용) 백업 전용 Private Network를 구성하여 백업하는 방식으로 기간 업무의 Public Network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기간업무 네트워크에 관련된 부하를 주지 않고 백업 전용 네트워크를 사용하므로 백업 성능이 향상되었다. Veritas NetBackup, 레가토 Networker, HP OmniBack등이 있어며 많은 업체에서 제공하고 있다.쪾라이브러리 공유 방식 마스터/슬래이브 구조로 구성되어 대용량의 라이브러리를 각 서버들이 공유하는 방식으로 고성능의 백업 속도를 보장하게 되었다. 이는 대용량의 데이터베이스 및 대용량의 파일시스템 백업에 적합하다. Veritas NetBackup, 레가토 Networker, HP OmniBack, EMC EDM, IBM ADSM 등의 업체에서 제공하고 있다.쪾LANFree/LANLess 백업방식 SAN 스위치/허브를 사용하여 라이브러리를 공유하여 사용하는 방식으로 라이브러리의 로보트, 테이프 드라이브 모두 공유할 수 있다. 유저 네트워크에 대한 부하를 완전히 제거했지만 여전히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자원을 사용한다. 이를 지원하는 소프트웨어는 Veritas NetBackup, 레가토 Networker, HP OmniBack, EMC EDM, IBM, ADSM 등이 지원하고 있다.쪾ServerFree/ServerLess 방식SAN 스위치/허브를 사용하여 라이브러리를 공유하여 사용하는 방식으로 라이브러리의 로보트, 테이프 드라이브를 모두 공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서버의 자원을 사용하지 않고 디스크에서 직접 테이프 장치로 백업하는데 이는 SAN 스위치/허브에서 데이터 통제 기능이 요구 된다. CA ARCserve 2000, EMC EDM등이 지원한다고 한다.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최근 인프라 구조 환경의 변화에 따라 백업 소프트웨어도 많이 변하고 있어 기본적으로 SAN과 NAS를 지원하는 제품이 인기를 끌고 있다. 이런 기능을 보유하고 있는 대표적인 소프트웨어가 Veritas NetBackup, Legato Networker, 이고 중소형 규모에서 강한 CA는 ARCserver2000을 출시하면서 ServerFree/ServerLess 백업에 새로운 바람을 일으키고 있다.스토리지 구축 방법론앞에서 언급한 내용으로 스토리지 분야에 대한 어느 정도 이해가 되었으리라 믿는다. 이제는 기업 환경에서 스토리지를 구축하기 위한 방법론에 대해서 알아보자.정보기술의 발전은 우리의 비즈니스 방식과 가치를 창출하는 방식에서 많은 변화를 가져왔고, 이는 불과 5년 전 까지만 해도 쉽게 예측할 수 없는 일이었다.Alan Geenspan, 미국 연방준비 위원회 위원장새로운 기업은 대량의 데이터와 새로운 정보 기술에 의해 힘을 얻고, 그들이 시장을 만들고, 비즈니스 관계를 형성하고, 전략적 계획과 혁명을 이루는데 정보를 활용한다는 것을 알고 있다.정보가 새로운 세상에서의 화폐처럼 변화해감에 따라, 더 많은 기업들은 새로운 스토리지 기술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노력하고, 비즈니스, 경영, 운영에 있어 이러한 사항을 이용하려 한다. 이러한 경향은 사업에 E-business 모델을 적용하려는 기업에 있어 분명히 나타나고 있고 인터넷 기술을 이용하는 비즈니스는 스토리지 기술 변화와 정보증가에 영향을 받는다. 기업에 있어 전자상거래 애플리케이션이 관련된 스토리지의 빠른 성장의 경향과 방대한 데이터를 인식 할 수 있는 능력은 중요한 성공 열쇠이다. 최적화된 스토리지 아키텍처는 E-business의 요구를 충족 시키기 위한 성공 요소이다가트너 그룹, 02,2000놀랍게도 상당히 많은 수의 정보기술 기업들이 기존에 보유하고 있는 저장장치 자원들을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결과적으로 저장장치에 불필요한 비용을 지출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관리 비용을 추가시키고 있다고 업계 전문가들은 믿고 있다.SAN에 연결되지 않은 저장장치 다시말해, 직접적으로 부착되어 있는 저장 장치의 평균 이용율은 기껏해야 70%정도라고 가트너 그룹에서 저장장치를 담당하는 연구부서장인 밥 패스모어는 말했다. 이상적인 경우가 되기 위해서는 이 숫치가 80%내지 90%가 되어야 한다고 그는 말한다.전통적인 스토리지 인프라에 있어서 설계, 마이그레이션, 관리 방법들은 다음과 같은 현상들에 의해 점점 괴멸되어 가고 있다쪾대량의 데이터를 생산하고 또한 대량의 데이터를 요구하는 사용자의 증가쪾데이의 7×24 ×365 가용성에 대한 요구 증대쪾백업으로 인한 Bandwidth의 손실이 처럼 스토리지에 대한 검토는 신중하면서도 합리적으로 처리되어져야 기업의 투자대비 효과적인 측면에서 이익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기업의 정보 인프라스트락처를 구축함에 있어서 다양한 구축 방법론이 있겠지만 여기에서는 스토리지를 구축하기 위한 기본적인 방법론에 대해서 알아보자. 기본적으로 스토리지를 구축하기 위해서 크게 다음의 3단계,요구사항정의 및 평가, 제품 도입, 스토리지 운영으로 구분할 수 있다. 물론 더욱 세분화는 할 수 있지만 상세한 내용은 필자에게 문의하시기 바란다.요구사항 정의 및 평가 단계최적의 스토리지 도입을 위하여는 정확한 요구사항을 정의 및 평가 단계로부터 시작된다. 이 단계에서 현재 스토리지 환경 및 요구사항을 정의하고 이에 대한 평가를 통하여 효과적인 스토리지 구축의 초석을 마련하는 단계다. 먼저 효과적인 스토리지를 구축하기 위해서 현재 기업내 정보인프라 환경에 대해서 정확히 이해를 필요로 한다. 이를 위해 다음의 요소들을 점검하고 평가 항목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쪾현재 사용 또는 향후 구축될 응용시스템의 현황 및 특성 쪾현재의 스토리지 자원 인벤토리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쪾저장된 데이터의 형태는 어떤 것들이고, 그 데이터들의 소유자는 누구이고, 언제 생성되었고, 언제 마지막으로 변경되었고, 언제 마지막으로 액세스 되었고, 데이터의 크기는 얼마인가 등쪾RAID, mirroring, remote copy 등의 데이터의 가용성을 위한 어떤 솔루션이 사용되고 있는가쪾현재 스토리지 사용성, 가용성,편의성은 어떤가쪾어떻게 관리되어지고 있는가쪾아카이브 스토리지가 있는가쪾HSM이 사용되고 있는가쪾데이터 이동이 있는지, 그것이 관리 되는지쪾백업 정책은 무엇인지쪾재난복구 계획이 있는지, 그리고 테스트는 해봤는지쪾파일 서버는 어떻게 사용되는지쪾데이터의 가용성 상실시 원인 분석을 했는지 그리고 이때의 비용 손실은 얼마인지쪾스토리지와 관련한 애플리케이션의 성능 문제가 있었는지쪾스토리지에 대한 기 투자된 비용은 얼마인가쪾기 도입된 스토리지에 대한 증가량은쪾향후 몇 년간 도입 예정인 스토리지는 얼마인가이러한 사항들에 대해 한번이라도 검토되었고, 이 사항들에 대해 이해 및 평가가 됐다면, 투자대비 비용을 고려하여 최적의 솔루션을 선택하기 위한 목표를 설정하여야 한다. 이제 목표 설정이 되었다면 다음의 제품 도입 단계로 넘어가자.제품 도입 단계제품도입 단계에서는 요구정의 및 평가 단계에서 나온 산출물을 가지고 각 업체 및 제품을 비교 검토, 선정 및 설치까지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우리 기업 환경에서는 임의적으로 단위 시스템을 도입, 구축하기 때문에 몇 년만 지나면 주먹구구식 시스템 환경으로 전락한다. 이는 여러 해 동안 필자가 보아온 바에 의하면 그러하다. 시스템 인프라 환경은 시시각각으로 변화하고 있어서 이에 대한 충분한 고려를 하지 않으면 향후에 수 많은 비용을 지불해야 할 지도 모른다. 스토리지 분야에 가장 중요한 것은 가용성, 확장성 또는 호환성, 성능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왜냐하면 스토리지는 기업의 정보와 맞먹는 즉 사업의 연속성을 할 수 있는냐 없느냐 하는 치명적인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가용성적인 측면은 기업의 사업 연속성을 위한 필수 사항이다. 다음은 확장성이다. 확장성은 기업의 투자 대비 효과에 대한 대답을 해준다. 확장성이 결여된 장비는 기본적으로 향후에 반드시 막대한 투자를 일으키게 한다. 그로 인해 기업에서 다른 필요한 IT 투자를 스토리지를 위해 중복 투자하는 낭비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다음은 성능이다. 성능을 고려한 최상의 그림으로 구성하라는 얘기다. 요즈음같이 온라인화 된 IT환경에서 성능이 뒷받침이 안 된다면 온라인 사업자는 기회 손실을 입을 가능이 높아진다. 스토리지가 기업의 다양한 비즈니스를 돕는 형태로 바뀜에 따라 싼 가격도 중요한 선택기준이지만 피크시에도 적절한 성능을 보장할 수 있는 고성능 구조, 가용성을 위하여 얼마만큼 구성 요소들을 이중화하였고 운영중에 증설이나 마이크로 변경 작업 실시 여부, 각종 장애나 재해에 대비한 다양하고 정합성 있는 내부 및 원격지 복제 솔루션의 보유 여부, 대용량의 스토리지를 통한 통합을 위하여 이기종 플랫폼의 지원과 다양한 관리 툴, 기업의 비즈니스 환경이 어떻게 바뀌어도 도입된 장비를 활용 할 수 있는 투자 자산에 대한 보호, 마지막으로 현재 스토리지에서 가장 각광을 받고있는 SAN의 지원 여부 등이 스토리지를 선택하는데 필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또한 사용하는 비즈니스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가용성과 지원능력, 비용, 확장성, 솔루션 및 성능 등 6가지 요소를 기준으로 도입을 평가할 수 있다. 온라인과 같은 미션 크리티컬(Mission Critical)한 업무는 가용성과 성능을 중요시하여 스토리지를 선택하고 배치성 업무는 비용과 성능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E-Business 환경에서는 가용성과 확장성을 스토리지 도입시 중요 평가 요소로 삼고 있다.스토리지를 구축하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 중 하나가 바로 백업 소프트웨어이다. 스토리지 구축에 있어서 지속적으로 하나의 스토리지 제품을 고집한다면 다행이지만 현실은 그렇지가 못하기 때문에 백업 관리 소프트웨어는 이기종간에 오픈된 제품으로 구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백업 분야에서는 스토리지에 관련된 많은 기능들이 추가되고 있는데 이 중에서는 소프트웨어 전문업체로서는 베리타스소프트웨어사가 스토리지 관련 제품을 상당히 많이 보유하고 있으며 또 스토리지 장비 전문 업체에서 스토리지 관리소프트웨어를 지원하고 있다. 특히 한국EMC에서는 스토리지 관련 많은 제품을 지원하고 백업 소프트웨어도 지원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과거 시스템 관리 분야에 두각을 보였던 한국CA, 한국IBM, 한국HP 등에서도 다양한 지원 제품을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백업 관리 소프트웨어를 검토할 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고자 다음과 같은 검토 항목을 제시하고자 한다. 사용의 편의성 백업 및 복구, 백업 정책 수립은 까다롭고 어려운 일이다. 백업시스템의 설치, 구성관리, 미디어관리, 장비 공유, 백업 파일인덱스관리, 복구관리 등에 있어서 유연성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입장의 관리에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해야 한다.백업/복구 성능 백업은 단순히 백업 장비와 CPU의 속도에 의해서만 백업 속도가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버 내부의 버스 속도, 네트워크 대역폭, 제어권을 가지는 CPU의 처리 능력, 실제적인 데이터의 전송을 담당하는 버스, 네트워크와 테이프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속도에 의한다. 데이터를 테이프에 한 번 기록하기 위해서는 이런 많은 요소를 거치는 사이클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 많은 요소들 중 각각의 속도차에 의한 지연 현상은 필수적으로 발생하게 되고 이것은 백업 속도의 저하로 나타난다. 데이터베이스 지원여부데이터베이스에 대해서 온라인 상태에서도 전체의 백업 및 트랜잭션 로그의 백업을 가능하게 하며 개별 테이블 또는 파일 그룹을 백업 및 복구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클러스터링 지원 일반적으로 각 기업에서 가장 중요한 업무 장비는 클러스트링을 이용하여 가용성을 증가시키고 있다. 이에 데이터를 보관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의 중단 없는 운용뿐만 아니라 이것의 백업 또한 장애없이 이루어져야만 한다. 중앙집중 관리백업 서버의 수가 하나나 두 대 정도일 경우에는 백업 스케줄, 미디어 관리, 정책 수립 등 백업에 관련된 모든 작업들이 관리자의 머리 속에서 계획되고 관리될 수 있지만 백업 서버의 수가 10대, 20대로 증가된다면 관리자의 하루 일과는 수많은 백업 서버 콘솔 사이로 뛰어다니다 끝나게 될 것이다. 만약 9시부터 6시까지였던 업무 시간이 7시부터 4시까지로 바뀌었다고 가정하자. 업무 시간의 변경에 따라 서버의 운영시간도 바뀌게 되므로 백업 시작 시간을 바꾸어야만 한다. 이럴 경우 백업 서버가 30대 정도가 있다면 단순히 스케줄에서 시간만을 바꾸기 위해서 서버대수 만큼 많은 콘솔에서 마우스를 클릭해야 하는 단순 작업의 반복을 감수해야 한다. 이 경우는 아주 단순한 예만을 보여주는 것이지만 가령 백업 정책의 변화라든지, 백업 대상의 변화 등 복잡한 변화가 생겼을 경우에는 과중한 관리부담이 발생되고 시행 착오를 겪을 위험마저 안고 있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많은 백업서버를 일관성 있고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도구가 필요하다. 미디어 관리 미디어는 단순히 백업에 사용되는 테이프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미디어에는 그 시점의 귀중한 데이터가 담겨져 있기 때문이다. 어차피 백업은 재해를 대비한 준비이기 때문에 일별, 월별, 분기별, 연별 백업 미디어 관리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데이터 보관을 위해서 많은 미디어를 무한정 보관할 수는 없기 때문에 보관 주기를 정하고 보관 주기가 끝난 미디어는 미디어 라이프 사이클을 고려하여 다시 백업에 사용하여야 한다. 미디어 관리는 백업 정책과도 많은 연관을 가지므로 중요하게 생각되어야 할 것 중 하나이다. 재해 복구 보호 재해 복구를 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다운타임의 최소화를 보장하는 짧은 복구 시간과 시행착오를 겪지않고 완벽하게 재해 이전 상태로 돌릴 수 있는냐 하는 것이 관건이라고 할 수 있다. 재해시 미션 크리티컬 데이터의 신속한 복구를 보장하기 위해서는 사전 대비가 가장 중요하다. SAN(Storage Area Network) 지원SAN을 사용할 경우 데이터 전송 속도의 증가, 백업 장비의 공유, 네트워크 트래픽 저하 등 많은 장점이 있다. 그래서 스토리지에 관련된 솔루션과 장비들이 앞다투어 NAS & SAN을 지원하려 하고 있고, 지원 여부가 솔루션 선택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타 플래폼 지원 백업 관리 소프트웨어가 각 플래폼별 에이전트를 이용하여 백업과 복구를 가능하게 한다. 네트웨어, 리눅스, 유닉스, 매킨토시 등과 각 업체 제품의 다양한 지원 여부 등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위의 몇 가지 검토항목을 가지고 기업환경에 맞는 스토리지와 관리소프트웨어를 검토한다면 꼭 필요한 부분은 놓치지 않고 검토할 수 있을 것이다. 모든 기업의 예산 집행에 있어서 철저하겠지만 보다 좀 더 다양한 각도로 검토하여 기업 환경에 맞는 최적의 솔루션을 선택하면 될 것이다.스토리지 운영 스토리지 운영 단계에서는 제품의 설치가 완료된 이후에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 한다. 일반적으로 단순하게 관리할 수도 있지만 재대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운영을 위한 방법론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스토리지만 전문적으로 관리하는 SRM(Storage Resorce Management)라는 솔루션이 나와 있다. 이것은 스토리지에 대한 스토리지 일반적인 관리에서부터 용량 산정까지 스토리지 관리자에게는 필요한 툴이라 생각된다. 스토리지 운영에서는 스토리지에 대한 정확한 현황을 파악하고 각 관리 소프트웨어에 대한 운영 정책을 수립하여야 한다. 의 저자인 Jon Wiliam toigo는 스토리지 관리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저장된 데이터와 스토리지 장비에 대한 보호 및 성능, 가용성, 접근성을 보장하도록 하는 절차 와 순서의 적용이다.” 또한 스토리지 관리는 다음과 같은 단계들을 포함한다고 하였다 앞의 요구사항정의 및 평가단계에서 요구사항과 평가가 정의되었다면 <표 4>와 같은 운영단계에서 운영을 위한 보다 정교한 관리정책을 수립하고 이를 이행해야 한다. 최적의 스토리지 관리 소프트웨어를 선정기업의 전산환경이 e-Business로 전환되면서 전산환경의 복잡화 및 대형화 추세에 따라 정보의 폭발적인 증가로 인한 스토리지 및 관리 소프트웨어에 대한 기업 IT관리자는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정보 인프라 스트럭처의 구축을 위해서 NAS나 SAN은 점점 인기를 얻고 있으며 많은 네트워크 및 스토리지 업체들이 이 폭발적인 스토리지 발전에 참여하려고 애쓰고 있다. 다수의 스토리지 관리 솔루션들이 이미 출현하고 있고 SNIA와 같은 업계 단체들이 구성되어 호환성에 대해 발표하고 있으며 SAN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업체간의 상호 연동성을 보장하려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지속적인 변화에 따라, NAS나 SAN이 제공하는 성능, 관리, 가용성등이 필요한 전산 조직은 다음과 같은 항목들을 고려해야 한다.쪾과장광고에 속지 않기 위하여 다양한 해당 솔루션을 세밀히 조사하여야 한다.쪾어떤 스토리지가 NAS나 SAN으로 마이그레이션하여 가장 효과적일지, NAS나 SAN 파일럿 프로젝트를 어떤 스토리지로 시작할 지에 대해 결정해야 한다.쪾사용자 요구사항을 수용하기 위하여 어떻게 NAS나 SAN을 구성하는 것이 최적인지 기 구축된 네트워크 스토리지를 분석해야 한다.쪾스토리지관리 소프트웨어의 적절한 선택 이러한 충분한 검토를 통하여 최적의 스토리지관리와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보고서, 분석을 위하여 스토리지 관리 소프트웨어를 선정해야 한다. 짧은 지면 때문에 충분한 정보는 제공하지 못한 아쉬움이 남지만 독자 여러분의 정보인프라 구축을 통해 기업 이윤를 극대화하는데 약간의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정리쪾이향선 기자 chief@pser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