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ID의 서비스중의 하나인
자원 정보 서비스(GIS)를 보면은
LDAP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GIIS와 GRIS라는 서버를 제공
합니다.
컴퓨터의 자원 정보나, 네트웍 정보는 수시로 바뀌게 때문에
GIIS와 GRIS에 수시로 데이터를 갱신해 줘야 할꺼라 믿습니다..
그런데 LDAP는 읽기에 최적화 되있고, 쓰기에는 무척 느리다고 하던데..
왜 쓰기에 약한 LDAP이 프로토콜로 채택됐는지 의문입니다.......
제가 GIS에 대해서는 잘 모르는 형편입니다만 한가지만 첨언을 좀 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LDAP이라는 프로토콜을 그냥 빠른 읽기를 위한 프로토콜이라고 생각하시지는 말아주셨으면 합니다.
LDAP은 이기종간의 검색베이스의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것입니다.
그리고 GIS의 정보가 어떤 형태를 가지고 있는지는
모르지만 아마도 일반적인 정보제공의 검색 서비스가
갱신에 비하여 수배이상의 비율을 가지고 있을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즉 LDAP을 채택하는 중대한 이유 2가지는
1. 표준 API기반의 정보교환으로 Base에 사용되는 DB에 종속적이지 않은 개발이 가능함.
2. 일반적인 서비스의 경우 수정보다는 검색의 비율이 높으므로 사용자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수 있음.
입니다.
간단히 적어봤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