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base.sarang.net
UserID
Passwd
Database
DBMS
ㆍMySQL
PostgreSQL
Firebird
Oracle
Informix
Sybase
MS-SQL
DB2
Cache
CUBRID
LDAP
ALTIBASE
Tibero
DB 문서들
스터디
Community
공지사항
자유게시판
구인|구직
DSN 갤러리
도움주신분들
Admin
운영게시판
최근게시물
MySQL Q&A 22968 게시물 읽기
No. 22968
다음 같은 경우는 MySQL 라이센스 문제가 어찌되나요 ?
작성자
초보자
작성일
2005-01-16 21:02ⓒ
2005-01-17 09:08ⓜ
조회수
1,984

라이센스관련 해서 읽어 보니 제가 잘못 이해하는지 모르겠지만요.

 

예로 MySQL이 없으면 사용이 불가능한 쇼핑몰이나 기타 게시판류를 판매하는 경우 MYSQL 라이센스를 구매해야 하나요 ?

 

구매 한다면 최종 시용소비자 인지요 ? 아니면 배포하는 개발자인지요 ?

 

마찬가지로 C++ 델파이류 같은 것으로 컴파일되어 개발된 제품도 마찬가지 인가요 ?

 

MYSQL 자체를  프로젝트 구입자가 직접 설치 사용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인지....

 

또 해당 개발된 프로젝트의 소스를 공개하면 GPL 정신에 부합하므로

 

괜챤다는 의미로 들리는데 구체적으로 어디다 공개를 해야 하는건지요 ?

 

 

 

 

이 글에 대한 댓글이 총 4건 있습니다.

얼마전에 저도 이런 라이센스 문제로 질문을 올렸는데 제가 답글과 라이센스 정책글로 판단한 것은.

 

1. GPL로 공개하지 않은 프로그램을 개발할 경우는 상업용 라이센스를 구입.

 

2. 이런 non-GPL 제품으로 상업적 서비스를 할때도 역시 상업용 라이센스를 구입.

 

3. 사내 시스템이라도 non-GPL일 경우 라이센스 구입 (저의 경우 ^^;)

 

즉, GPL 적용을 받지 않은 제품의 개발/사용의 경우 상업용 라이센스를 구입해야한다고 판단하였습니다.

 

소스공개는 제품 사이트에다 등록을 해놓으시면 되겠죠. ^^

김성현(vortex)님이 2005-01-17 09:24에 작성한 댓글입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결국 소스를 공개하지 못하는 경우는 무조건

사야 한다는 이야기네요.

올리는건 어렵지 않지만 영어가 되야 소스두 올리지요 헤헤~~ 

 

실제로 국내에서 프로젝트를 개발해서 올리는분이 계신지도

의문이네요.

 

예로 SQL GATE FOR MySQL 같은 프로그램은 분명히 MySQL이

없으면 꽝인 제품입니다.   

 

이런 개발자나 제로보드 개발자나 (이것도  공짜도 있지만

판매를  분명히 하는 제품이죠)

 

왜 뻔히 이런 제품들이 있는걸 알면서 법적제제를 취하지 않는 이유는

무었인지...

 

수 많은 호스팅 사이트들이 MySQL을 사용하는데 가만 있는지 이해가

안가네요.

 

이렇다 보니 순진한 사람만 구입하는게 맞는건지...

도통 이해가 안가서 말이죠.

 

 

 

 

초보자님이 2005-01-17 13:17에 작성한 댓글입니다.
이 댓글은 2005-01-17 13:18에 마지막으로 수정되었습니다. Edit

GPL 의 경우에는 소스를 공개해야 하나. 이 경우에도 여전히 의문은 남습니다. ( 사실 GPL로 넘어가면 이건 MySQL AB측에서 유권해석을 할 부분은 아닌 거 같습니다. )

 

DB Connection 단만 분리한 다음에 공개를 하느냐. 전체 코드를 공개를 하느냐인데. 일단 DB Connection이 들어가는 하나의 프로젝트를 다 공개해야 하는 경우로 알고 있습니다.

 

3.x 버전대에서는 LGPL 입니다. 하지만 어짜피 비슷합니다. ( 돈 주고 사는 게 가장 낫기는 합니다만)

 

---

 

그리고 왜 집중적인 단속을 하지 않는가 하는 부분에서는 예전의 MS와 같다고 할 수 있을 겁니다. MySQL과 같은 DB 시장에서 후발주자의 경우에는 일단 사용자층을 늘려놓는 것이 주 목적일 겁니다 .

 

처음부터 단속을 하게 된다면, 사용자들이 MySQL을 쓰게 될까요? 국내에서 MySQL의 수요가 증가한 것이 APM과 맞물려 MySQL이 공짜~ 라는 인식이 강했기 때문으로 보고 있습니다.

(사실 MySQL의 유저인터페이스나 그런 부분들은 상용DB에 비하면 나쁜 편입니다. - 사실 상용DB도 개인적인 차원에서는 그냥 쓰시는 분들이 많죠)

 

MySQL이 4.1 정식버전을 Release하면서 GPL 선언을 하고 얼마전에 국내 공급업체가 SPC에도 가입했다는 소식이 들렸습니다. 뭐 1-2년 안에 단속을 하러 올지도 모르겠군요.

 

장홍창(changaya)님이 2005-01-17 15:46에 작성한 댓글입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대충 감을 잡겠네요.

 

하도 이쪽 관련 부분은 헷갈려서...

 

 

초보자님이 2005-01-17 18:25에 작성한 댓글입니다. Edit
[Top]
No.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22971mysql 에서 숫자 저장시... [1]
김희석
2005-01-17
1172
22970백업관련 문의 드립니다. [1]
최정민
2005-01-17
1379
22969조인을 많이 하는 테이블 구조 [1]
김준용
2005-01-16
2171
22968다음 같은 경우는 MySQL 라이센스 문제가 어찌되나요 ? [4]
초보자
2005-01-16
1984
22967입력할때 한글이..
caroline
2005-01-16
964
22966일본어 특수문자 문제 입니다.ㅠㅠ
정대현
2005-01-16
1203
22965[질문] mysql 에서 desc 명령을 실행하면 quartz.dll 충돌...
-_-;;
2005-01-15
984
Valid XHTML 1.0!
All about the DATABASE... Copyleft 1999-2024 DSN, All rights reserved.
작업시간: 0.019초, 이곳 서비스는
	PostgreSQL v16.2로 자료를 관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