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base.sarang.net
UserID
Passwd
Database
DBMS
MySQL
PostgreSQL
Firebird
Oracle
Informix
Sybase
MS-SQL
DB2
Cache
CUBRID
LDAP
ALTIBASE
Tibero
DB 문서들
스터디
Community
공지사항
ㆍ자유게시판
구인|구직
DSN 갤러리
도움주신분들
Admin
운영게시판
최근게시물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4812 게시물 읽기
 
No. 4812
오라클이 뭐길래...
작성자
이경환(babocom)
작성일
2005-07-15 10:43
조회수
4,890

구인공고에선 모두 오라클 DBA 만 찾나??

오라클이건, SQL 서버건, 마이SQL 이건... 어차피 DBMS 의 원리야

다 거기서 거기인데...

 

DB 원론을 공부하는건 학교에서만인가??

실무에선 특정 DB 를 잘쓰는게 더 중요한가 보군...

 

에휴..

시간내서 오라클 공부도 좀 해봐야지...

 

이 글에 대한 댓글이 총 6건 있습니다.

많이 쓰이기도 하지만...  공부 분량 자체가 다르죠.

 

자동차 운전자와 전투기 조정사가 다르듯이 말이죠.

 

물론 자동차로 갈 수 있는 근거리를 가는데 전투기를 몰고나가면 바보 소리 듣기 쉽상입니다. ^^;

 

MySQL 공부할 때 책 한권으로 했는데, 오라클은 수십권 읽고도 부족함을 느낍니다. 아마 평생 공부해도 모자랄 듯 싶군요.

 

물론 MySQL도 훌륭한 DBMS이지만... 제 생각엔 웹이나 특정 목적의 경우에나 타당하지 일반 기간 업무에 쓰기에는 부족한 점이 많습니다.

 

김주현님이 2005-07-15 10:51에 작성한 댓글입니다.
이 댓글은 2005-07-15 11:03에 마지막으로 수정되었습니다. Edit

Oracle 천국!

불신 (타 DBMS) 지옥!

 

삼계탕을 잘못 먹은듯 싶습니다... 멍멍멍...

 

위와 같은 생각이 문제죠...

열에 아홉은 그 불신(?)으로 할 수 있는걸 천국(?)하려고만 하니...

헝그리찍세님이 2005-07-15 13:14에 작성한 댓글입니다. Edit

DB 시작시 mysql 을 처음 시작하는 이유는....

일단 주위에서 접하기가 쉽기 때문일 겁니다...  공짜이고..  웹DB로 많이 쓰이니 소스도 구하기 쉽고...  저사양에서도 돌아가니 PC 에 설치해서 게시판 만들어보고 하다보면 DB 란게 이런거구나... 하고 알수 있죠..

다만 한계라면...   자칫 DB 를 다 알았다는 자만에 빠질 수 있죠..

어떤 다른 DB 를 보아도..  그까이꺼...  하는 생각에...

mysql 이랑 뭐 다르겠나... 하는 생각이 드는거죠... 

 

오라클...  확실히 뛰어난 DB 입니다...

특히 대용량 쪽에서 그 진가를 발휘합니다..  입이 떡 벌어집니다..

쿼리튜닝 그딴거 생각할 필요 없습니다...  서브쿼리 마구마구 써도 아무렇지 않게 처리합니다..  그래서 대개 오라클 쓰시던 분들은 서브쿼리 사용을 남발(?) 하는 경향이 있죠...  한마디로 대단합니다..

DBMS 쪽에선 선두주자라고 할 수 있고...  오라클이 만들면 표준이 되죠...  트리거나 테이블스페이스 등도 오라클에서 처음 시작한걸로 아는데...

그러나 혼자 공부하기는 힘듭니다..  요구하는 사양도 만만치 않고..

일단... 일반 PC 엔 설치조차 힘듭니다... 기본으로 메모리를 몇백메가씩 잡고있으니... 이거 설치하면 따른작업은 엄두도 못냅니다...

최소한 제대로된 공부를 위해선 DB 서버를 별도 PC로 만들어야 하죠.

 

진정한 DBA 가 되기 위해서는 특정 DB 에 연연하지 않는 것도 필요하지만..  또한 어떤 DB 라도 어느정도 자유로이 다룰 수 있을 만큼의 숙련은 필요하다고 생각되네요... 벌써 서른...

앞으로 딱 오년...  오년동안 가능한 다양한 DB 를 다뤄볼 생각입니다.

그리고는 명함에 DBA 라는 세글자를 넣어야죠...  ㅎㅎ

이경환(babocom)님이 2005-07-16 09:55에 작성한 댓글입니다.
이 댓글은 2005-07-16 10:31에 마지막으로 수정되었습니다.

저도 오라클으로 먹고 사는 사람 입장에서 오라클이 가장 확장성이 뛰어난 우수한 관계형 DBMS라는데 동의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다른 DBMS들이 형편없다는 것 또한 동의 하지 않습니다. 그렇게 형편없는 DBMS였다면 이미 시장에서 사라지고 없을겁니다.

또한 그렇게 우수한 DBMS를 얼마나 잘 활용하게 코딩했는냐가 더 중요하다는 것을 자주 목격합니다.

 

가장 많은게 하드웨어 핑계... 기계를 더 비싼걸 사면 될것이다.

두번째, DBMS 핑계...  MS-SQL이 오라클보다 더 우수하다. 괜히 오라클 사서 문제 생긴거다. 혹은 그 반대로... 오라클 사면 무조건 다 좋아졌을 텐데... MS-SQL사서 문제 생긴거다.

 

전부 사실이 아닙니다. :-)

김주현님이 2005-07-17 23:46에 작성한 댓글입니다. Edit

과일용 칼이 있고

생선용 칼이 있습니다.

가죽용 칼도 있을 수 있군요.

소고기를 도려내는 칼도 있을 수 있구요.

--

 

DB의 성능을 수치화해서 "어느 DB가 최고다"라고 말하는 것은 힘들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현재 해당 프로젝트에 어울리는 DB가 있는 것이죠.

예를 들어서 저희 Project의 경우에는 많은 Tr 처리 능력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복잡한 통계나 고급 SQL의 활용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단일 table을 상대로 update, insert, delete를 가장 빨리 처리할 수 있는 mysql을 선택하였습니다. 만약에 "요구조건"이 달라진다면, DB가 달라질 수도 있겠죠

 

--

 

여담입니다.

프로젝트 중간에 Oracle로의 선회를 한때 고려해 본 적이 있습니다 .그리고 컨설턴트를 불러서 "우리는 이런 이런 성능을 원한다"라고 이야기를 한 적이 있습니다. 그때 대략 견적이 5~6억 정도 나왔던 것으로 기억(하드웨어 포함)합니다.

 

그런데 저희 지금 모든 DB와 mysql 라이센스비를 합쳐도 2억도 들지 않습니다.

 

--

 

오라클이 필요한 곳에는 오라클을

MS-SQL이 필요한 곳에는 MS-SQL을

mysql이 필요한 곳에는 mysql을

 

이게 정답이 아닐까요?

 

--

 

죽으나 살리나 목에 칼 들이대고 "어떤 게 가장 좋은거야? 헛소리 하지 말고 하나만 골라봐"라고 한다면

 

"비싼 게 좋은 거겠죠"

 

라고 대답하겠네요 ^^

장홍창(changaya)님이 2005-07-18 09:33에 작성한 댓글입니다.

MySQL의 경우 MyISAM Type의 경우 Table level locking만 지원하므로...

 

동시 DML이 많은 환경에서는 부적합합니다.

 

DML을 하면 table 전체 lock이 걸려버리기 때문에 동시성을 엄청나게 저하시키게 됩니다. (insert의 경우는 상관이 없겠지만...)

 

따라서 MySQL은 DML 보다 select등 조회의 빈도가 굉장히 높은곳에서 유용합니다. 이를테면 웹환경이겠죠.

 

또한 대용량 테이블 관리에 편리한 파티셔닝이나 클러스터등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대형 쿼리등을 처리하기가 불가능합니다.

 

반대로 뒤집어 이야기하면... 그러한 기능이 필요치 않는 경우 MySQL을 쓰라는 것이죠.

김주현님이 2005-07-18 15:48에 작성한 댓글입니다. Edit
[Top]
No.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4815rss.php 에 문제가 있습니다. [4]
성혁
2005-07-20
4504
4814게으른 SE... [1]
헝그리찍세
2005-07-19
4337
4813DSN 짧은 지난 이야기 [11]
김상기
2005-07-19
4741
4812오라클이 뭐길래... [6]
이경환
2005-07-15
4890
4811임종석님 걍 한번 생각해 봤는데요.. [2]
이경환
2005-07-12
4348
4810생전처음 db작업을해야하기에 질문좀 드립니다 [7]
임종석
2005-07-12
4676
4807정재익님께 배너 광고건 문의 [6]
김주현
2005-07-09
4667
Valid XHTML 1.0!
All about the DATABASE... Copyleft 1999-2024 DSN, All rights reserved.
작업시간: 0.018초, 이곳 서비스는
	PostgreSQL v16.2로 자료를 관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