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base.sarang.net
UserID
Passwd
Database
DBMS
MySQL
PostgreSQL
Firebird
Oracle
Informix
Sybase
MS-SQL
DB2
Cache
CUBRID
LDAP
ALTIBASE
Tibero
DB 문서들
스터디
Community
공지사항
ㆍ자유게시판
구인|구직
DSN 갤러리
도움주신분들
Admin
운영게시판
최근게시물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4872 게시물 읽기
 
No. 4872
오라클은 왜 X 가 필요한가...
작성자
이경환(babocom)
작성일
2005-08-29 00:34
조회수
5,879

덴장...

스터디컴에 레뎃9.0 을 설치했는데 X 가 안뜨네요..

이리저리 궁리해보니 ATI Radeon 이라서 문제가 있나본데...

ATI 가 7000 시리즈의 리눅스 드라이버를 제공하지 않는다고 하네요..

ati 에서 레뎃깔고 X 때문에 문제있는 질문들이 구글링해보니 여럿 있더군요..

8000 이상급 드라이버가 있는데 이거 깔아도 될래나 몰겠네.. ㅡㅡ;;

 

여하튼.. 각설하고..

왜 오라클은 X 없이 설치할 수 있도록 제공하지 않는건지...

서버컴에 X 를 띄울 필요가 뭐있다고.. 덴장~

 

안되믄 모 글픽카드를 바꾸던지 해야죠..

아~~~ 오라클 공부하기도 힘들군... ㅡㅡ;;

윈도로 깔려다 램 256에 윈도깔고 오라클 깔면 넘 버벅일것 같아서...

글구 실지로 오라클은 unix 환경에서 더 많이 쓰이니까...

유닉스 계열에서 설치하는 법을 알아둬야 할것 같아서리...

 

오라클 9 설치 최소사양이 램 512 던데... 설치안되믄 램 업글해야겠죠.. 에휴~

(설마 설치야 안될라구.... ㅡㅡ;;)

이 글에 대한 댓글이 총 9건 있습니다.

리눅스에서 처음 설치할때 나는 7일 이나 걸렸어요 -_-

된장 뭐 그리 마차줄것도 많은지

고생하고 메뉴얼 발간 하시길 바랍니다.

리눅스의 엑수는 인스톨러로 전락한지 좀 되었는데요~  ^^;

석이님이 2005-08-29 08:53에 작성한 댓글입니다. Edit

실명제 때문에 헝그리찍세에서 김종민(규리아빠)로 바꿈니다.

 

X도 이해가 않가지만...

 

Java는 더 이해가 않가네요...

 

물론 자세한 내부 구조로 들어가면 어쩌고 저쩌고 궁시렁 궁시렁 하지만요...

 

저가 일한 회사에선 디비에서 쓰는 기능은 I/U/D/S가 99% 인듯 싶습니다...

 

혹 제가 모르는 1%는 글쎄요 저도 잘 몰라요...

 

즐거운 한주되세요.

김종민(규리아빠)님이 2005-08-29 10:43에 작성한 댓글입니다. Edit

헝그리찍세에서 김종민(규리아빠) 로 바뀌면서

 

서명도, OTL -> 즐거운 한주되세요. 로 바뀌셨네요.

 

아직 실명제는 도입된건 아니고, 그리고 저의 의견은 DSN의 실명제 반대입니다~~~~~

 

허정수(wertyu)님이 2005-08-29 11:34에 작성한 댓글입니다.

unix 계열의 서버에선 거의 비주얼 환경을 쓰지 않는것이 대부분입니다.  현재도 그렇고 아마 앞으로도 당분간은 그럴것 같은데요...

심지어 대형 머신에선 아직도 모노크롬 콘솔을 사용하고 있는것도 많은걸로 알고 있습니다...

오라클에서 X 없는 설치를 지원하지 않는것은 아이러니인것 같네요..

자바야 그렇다 쳐도.. (자바는 X 없이도 설치되니까요.. ) 오라클의 설치에 왜 X 환경이 필요한 것인지... 

단지 설치의 편의를 위해 그런것인지..  아니면 X 가 없으면 안되는 어떤 이유가 있는것인지...   개발자들에게 묻고싶군요...

이경환(babocom)님이 2005-08-29 23:53에 작성한 댓글입니다.

설치의 편의성 때문에 그렇습니다. 자바를 쓴 이유는 모든 플랫폼에서 동일안 UI를 제공하여 일관성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구요. 덕분에 메인프레임이든, 윈도우머신이든 별 불편함 없이 오라클 인스톨이 가능합니다.

 

오라클 유니버셜 인스톨러는 오라클 설치 뿐만 아니라... 패치 파일 인스톨, 드라이버 업그레이드등 여러가지 작업에 사용됩니다.

 

과거에 오라클의 경우 사전 작업을 해주어야할 것도 많고 그랬는데 요즈음은 마우스 몇번 클릭하면 설치가 완료될 정도로 쉬워졌습니다.

 

아무리 강력해도 복잡하고 어려우면 외면받는게 현실이고 오라클사도 그 점을 분명히 인식하고 있습니다. 9i를 거쳐 10g에서는 점점 쉬워지고 있는데 앞으로 이러한 경향이 더 심해지면 심해졌지 들하지는 않을것입니다.

 

 

 

마지막 위에 레드햇9은 언제 단종된 버젼입니까? 아직도 그 버젼을 쓰시면 문제가 많을겁니다. 업데이트도 제공 안되는 단종 버젼이지 않나요? 특히 오라클 편하게 설치하려면 오라클에서 인증하는 플랫폼으로 설치해보시기 바랍니다. 그냥 별다른 조치없이 쉽게 설치됩니다. (버젼은 9i 이상을 쓰시구요.)

Redhat Advanced Server를 쓰세요. 구매가 어려우시면 클론버젼인 CentOS도 있습니다.

김주현님이 2005-08-30 09:19에 작성한 댓글입니다.
이 댓글은 2005-08-30 09:23에 마지막으로 수정되었습니다. Edit

레드헷 9 업데이트가 되긴 합니다...정식으로 되는것이 아니라...페도라거처서...

 

그렇다고해서 페도라를 사용하긴 좀...엔터프라이즈버전은...돈낭비란 저항들이 심해서...

 

 

김영호(icepage)님이 2005-08-31 11:17에 작성한 댓글입니다.
이 댓글은 2005-08-31 11:17에 마지막으로 수정되었습니다.

페도라는 오라클 인증되어있지 않습니다.

 

레드햇 9,8 버젼의 경우도 인증된 적이 없습니다. 그래서 Workaround로 강제로 설치하려다보니 까다롭고 어려운거지요.

 

 

레드햇 엔터프라이즈는 CetOS라는 클론 버젼이 존재합니다. 로고나 레드햇이라는 상표권 때문에 그 부분을 제외하고는 100% 동일한 버젼이고 업데이트도 제공됩니다.

김주현님이 2005-08-31 19:24에 작성한 댓글입니다. Edit

경환님

리눅스용 오라클 cd좀 구할수있을까요?

설치문서나 기타등등 참고될만한것들두요..

 

리눅스에 오라클 설치를 해야되는데

오라클쪽은 아는바가 없네요..

 

예전에는 오라클엔지니어에게 문의만했던터라 ㅠㅠ;

 

help me, plz~ :'(

이창민(Prosper)님이 2005-09-05 13:06에 작성한 댓글입니다.

오라클 홈페이지 가시면 그냥 다운받으실수 있습니다.

 

http://www.oracle.com/technology/software/products/oracle9i/index.html
이경환(babocom)님이 2005-09-05 13:23에 작성한 댓글입니다.
이 댓글은 2005-09-05 14:02에 마지막으로 수정되었습니다.
[Top]
No.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4875공부만이 살길이다... [4]
김종민(규리아빠)
2005-08-30
5040
4874게임 서버 디비 추천부탁드려염! [6]
정두섭
2005-08-30
5615
4873글 올린거 좀 지울려고 하는데요...
도우미
2005-08-29
4466
4872오라클은 왜 X 가 필요한가... [9]
이경환
2005-08-29
5879
4869질문시 실명으로 질문하면 어떨까요? [9]
송상준
2005-08-26
4665
4868ERD 관련하여 질문 드립니다.
소나기
2005-08-26
5087
4867x86 에서 MAC OS 10 돌리기 [2]
유형목
2005-08-26
5261
Valid XHTML 1.0!
All about the DATABASE... Copyleft 1999-2024 DSN, All rights reserved.
작업시간: 0.017초, 이곳 서비스는
	PostgreSQL v16.2로 자료를 관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