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base.sarang.net
UserID
Passwd
Database
DBMS
MySQL
ㆍPostgreSQL
Firebird
Oracle
Informix
Sybase
MS-SQL
DB2
Cache
CUBRID
LDAP
ALTIBASE
Tibero
DB 문서들
스터디
Community
공지사항
자유게시판
구인|구직
DSN 갤러리
도움주신분들
Admin
운영게시판
최근게시물
PostgreSQL Q&A 5147 게시물 읽기
No. 5147
책을 쓸려고 하는데..
작성자
이상호(search5)
작성일
2004-01-08 00:45
조회수
2,839

안녕하세요..

 

서치입니다.. 흠.. 잘 모르지만.. 이번에 postgresql 책을 쓰려고 합니다..(집필이라 해야 되나요?)

 

아마도 책 쓰면서 상기님과 여럿 분들을 괴롭힐것 같은데.. 헤헤.

우선 책 목차는 오렐리 서적을 기준으로 거의 비슷하게 꾸몄는데, 다른 분들의 지적있음 바로 수정하겠습니다.

 

책을 쓸려고 하니.. 너무 모르다 보니 겁이 더럭 나네요.. 아래에 목차 첨부합니다..

 

가칭 : PostgreSQL과 함께하는 데이터베이스


목차


서문

- 대상

- 구성

- 온라인 정보

- 코드 얻기

- 글자체 및 표시 규칙

- 참고박스

- 경고박스

- 의견이나 질문

- 감사의 글


Part 1. PostgreSQL Basic

1. PostgreSQL의 이해

- 관계형 DB의 이해

- DB의 실제

- PostgreSQL의 역사

- PostgreSQL을 사용했을때의 이점


2. PostgreSQL 설치와 구동

- 리눅스, 유닉스 설치

- 윈도우 설치

- 설치중의 문제


3. PostgreSQL에서의 SQL 사용

- SQL 정의

- SQL 문장의 구성

- 지원하는 데이터 타입

- PostgreSQL의 테이블


4. psql과 데이트하기

- psql은?

- 테이블 이용하기

- 데이터 삽입과 삭제

- 원하는 데이터 뽑아오기

- 특정 행의 데이터 수정하기

- 테이블의 행 삭제

- 서브 쿼리 던지다

- View의 사용

- Rule

- PostgreSQL 애플리케이션 개발하기


5. PostgreSQL 외부에서 접속하기

- psql

- pgaccess

- pgadmin

- Etc.


6. 내장 함수와 연산자

- 연산자

-- 기본 연산자

-- 정규 표현식 연산자

-- 수학 연산자

-- 비교 연산자

-- 바이너리 연산자

-- 논리 연산자

- 내장 함수

-- 수학 함수

-- 문자열 함수

-- 변환 함수

-- 집합 함수


Part 2. PostgreSQL Advanced

7. 데이터베이스 설계하기

- 기초

- 정규화

- 논리적 설계론

- 물리적 설계론

- 참고자료


8. PostgreSQL에 더 깊이 들어가보기

- indices 의 사용

- 테이블에 딴지 걸기

- 배열 사용하기

- SEQUENCE 사용하기

- PostgreSQL Catalog 사용하기

- Procedure와 Trigger 사용

- 실행 계획 보기


9. 트랜잭션과 커서의 사용

- 트랜잭션의 정의

- 트랜잭션의 사용

- 커서 정의

- 커서를 알면 데이터 처리가 편해진다?


Part 3. PostgreSQL Administration

10. Authenticate 과 Session 보호하기

- 인증과 세션 보호의 필요성

- 클라이언트 인증하기

- 세션 보호하기


11. PostgreSQL Management

- PostgreSQL의 시작과 정지

- Database의 관리

- 최적화 하기

- 잊어서는 안될 작업. 백업과 복구


12. 유저와 그룹

- 유저 관리

- 그룹 관리

- 테이블의 권한 부여


Part 4. PostgreSQL Programming

13. PostgreSQL로 프로그래밍 하기

- pl/pgsql의 정의 및 postgresql에 추가하기

- 언어 구조

- 변수의 사용

- 언어 내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구조

- Trigger와의 사용


14. libpq와 내장 SQL를 이용한 프로그래밍

- lipq와 내장 sql의 정의

- lipq를 사용한 C 프로그래밍

- 내장 SQL을 사용한 C 프로그래밍


15. PHP와 PERL에서 사용하기

- PERL에서의 사용

- Perl의 모듈을 사용한 프로그래밍

- PHP에서의 PostgreSQL 프로그래밍

- PHP에서 직접 접속 방법말고 다른 접속 방법은 없을까?

- 다른 스크립트 언어에서 접속하기


16. Python을 이용한 프로그래밍

- 파이썬 모듈 구하기

- 파이썬에서 데이터베이스 접근하기

- 도서 조회 프로그램 작성


17. PHP-GTK를 사용한 GUI 애플리케이션 개발

- PHP-GTK?

- PHP-GTK에서 PostgreSQL 접근하기

- PHP-GTK로 주소록 작성해보기


18. JDBC

- JDBC 드라이버 만들기

- JDBC 드라이버?

- JDBC의 사용

- JDBC에서 SQL 에러 처리하기


19. LXP

- LXP는?

- LXP 설치와 설정

- LXP의 이해

- 변수와 객체

- 쿠키 이용하기

- 태그 해석

- LXP의 논리 구조

- 반복 하기

- 컨텐츠 포함하기

- 제약 태그


Part 5. PostgreSQL의 또 다른 자료

20. 참고 자료

- PostgreSQL Command Reference

- Multibyte 지원

- PostgreSQL Backend 옵션

- 바이너리 복사하기

- psql 의 변수

- 스키마와 테이블

- 대형 객체 사용하기

- 데이터베이스의 제한


찾아보기(Index)

이 글에 대한 댓글이 총 5건 있습니다.

RDBMS 책은 너무 많은지라, 입문서 형태로 쓰여지면 과연 팔릴까? 싶습니다. 입문서는 한국어 메뉴얼이 나오면, 판권은 PostgreSQL 개발진에게 있고, 단지 기념비적(?)으로 출판하는 형태(누가 출판해 줄지는 의문이지만)로 움직이는 것이 PostgreSQL 철학에 맞다고 봅니다. -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PostgreSQL 놈은 이런 것이 다릅니다." 이것에 촛점을 맞추어야하지 않을까요?

 

예를 들어서,

PostgreSQL로 꾸며보는 지리정보 시스템. (rtree, gist 인덱싱 관련)

PostgreSQL로 꾸며보는 커뮤니티 시스템, (객체 상속)

아니면, 요즘 제가 무진장 관심을 가지고 있는 PostgreSQL로 접근하는 자연어처리와 그에 따른 웹페이지 서치에 대한  실무.

(이런 돈되는 것을 써야지 않을까나... ^.^)

 

김상기(ioseph)님이 2004-01-08 01:14에 작성한 댓글입니다.

흠.. RDBMS책이 많긴 합니다. 솔직히.. 그것들의 주류가 대부분 oracle이나 mssql. mysql 등에 맞춰져 있다는게..

 

일단.. 돈되는.. 지리 정보나 커뮤니티, 자연어 처리쪽은 저도 생각은 해보았지만 지금의 제 실력으로는.. 흠.

 

그래서 추가하게 된다면 자연어 처리쪽에 무게를 두고 상기님 도움을 받아야 할 것 같습니다.

 

저도 자연어 처리에 관심이 생겨서리..

 

그럼 즐거운 시간 보내세요.

이상호(search5)님이 2004-01-08 01:21에 작성한 댓글입니다.

mysql 조금 쓰다가 pgsql로 넘어온지 얼마 되지 않는 초보자입니다만... 감히 몇가지 말씀 드리겠습니다.

 

데이터베이스 설계하기 부분은 뺐으면 합니다. 몇권 안가지고 있는 책이지만 제가 가지고 있는 책에는 죄다 정규화를 포함한 데이터베이스 설계에 대한 이야기가 들어있더군요. 뺐으면 합니다. 차라리 중간 중간에 간단하게 설명하고 자세한 내용은 친절한 설명이 있는 홈페이지를 소개하는 것으로 대신 하는 것이 더 나을 것 같습니다.

 

지리 정보나 자연어 처리 부분은 제가 무지한터라-_- 생략하기로 하고 ORDBMS의 특성을 살린 커뮤니티는 추가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사실 얼마 안되는 기간이지만 pgsql을 쓰면서 상속이나 종종 써먹었지 타입이나 연산자를 만들어 본 경험이 없군요. 누군가 이해하기 쉽게 개념만 잡아주면 유용하게 써먹을 수 있는 기능인 것 같은데요 :)

 

모 잡지에서 보니까 오라클 10g도 ORDBMS의 특성을 대폭 개선했던데 pgsql 책에도 들어가면 좋을 것 같습니다. mysql 쓰던 사람에게는 흥미로는 사실 아니겠습니까? :)

 

좀 딸리는 실력이지만 도와드릴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긴 하려나요-_-)

 

tsearch2를 기반으로하는 간단한 풀텍스트 서치도 추가했으면 좋겠습니다 커뮤니티 만들 때 들어가면 좋겠네요.

 

좀 세세하게 들어가자면...

 

SP쓸때 다른 대형 DB와 달리 파라미터를 이름으로 할 수 없는 것이나 OUT 파라미터가 없는 것 (이런 건 아주 작은 부분이 되겠지요), 혹은 Nested Transation이 안되는 것(이건 좀 굵직한 주제군요) 과 같이 다른 대형 DB에서 자연스럽게 사용하고 있지만 pgsql에서는 못하는 것을 NOTE로 담아두시는 것 까먹지 마세요. :)

 

dsn 에서 잠시 이야기되었던 큰 테이블에서 LIMIT의 느린 속도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도 소개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dsn 에 해답이 있지 않나요? :) - 여담이지만 dsn 속도는 정말 감탄할 만 합니다. 놀라워요. -

 

vacuum 과 관련된 이야기도 넣어야겠네요.

 

적다보니 제가 무슨 책쓰는 것 처럼 되었군요. 요약하자면 pgsql 의 특성을 살리면서 실무에서 참고할만 하고 개발에 도움이 되는 내용을 대폭 넣으면 좋겠다는 겁니다. mysql을 사용하던 사람에게는 흥미로운 주제가 많아지고 대형 DB쓰던 사람에게는 이거 쓸만한걸? 이라는 생각이 들게 말입니다.

 

메일링 리스트에 종종 올라오는 재밌는 팁도 몇개 추려서 넣으면 더욱 좋겠... 그만하겠습니다 -_-;

 

즐거운 하루 되시길~

 

ps. 도메인 소개하는 부분이 빠졌네요 :)

최연석님이 2004-01-08 18:05에 작성한 댓글입니다.
이 댓글은 2004-01-27 01:14에 마지막으로 수정되었습니다. Edit

너무 상세한 의견 감사드립니다.

 

저도 PostgreSQL 메일링은 모든 메일링을 받아보고 있습니다. 영어가 딸려서 그렇지 가끔 보면 제가 아는 질문도 있더라는.. 잡설이고

 

우선, 대형 DB에 대해서도 배워야 할 것 같네요. 대형 DB에서 자연스럽게 사용하는 기능들에 대해 약간의 정리를 해주셨으면.. 하네요.

 

그리고.. tsearch2 를 기반으로 하는 풀텍스트 인덱스 기능은, 상기님 도움을 받아, 현재 한글은 안되고 영문을 기반으로 해서 추가하겠습니다.

 

그리고 DSN 속도가 나올 수 있는지 꼭 연구해보겠습니다.

 

말씀하신 vaccum 은 최적화 편에 들어가 있습니다.

 

ORDBMS의 특성을 살린 커뮤니티 역시 끝 부분에 개발 부분으로 남겨두겠습니다.(이렇게 되면 입문서와 중급서에 가까이 되는 것이군요)

 

그리고.. NOTE 로는 대형 DBMS가 지원하는 기능을 PostgreSQL과 비교해 꼭 필요할때 마다 추가하겠습니다.

 

그리고.. 정규화쪽은 저도 솔직히 상당이 이해하기 난해한 부분입니다. 그래도 왠만한 책에 들어가 있길래 조금 추가한건데. 그 부분은 제외하고 필요할때 마다 참고서적에서 예를 가져다가 설명하는 부분으로 메꾸겠습니다.

 

음.. 최연석님 의견을 들으니 책에 대한 시각이 좀 더 넓어졌네요. 저도 책을 처음 쓰는 거라, 단순히 앞만 바라봤네요. 의견 감사드립니다.

 

나중에 책 쓸때 dsn에서 도움 주신 분들은 이름은 꼭 넣어야죠.. 책 쓸때마다 종종 괴롭힐(?)테니까, 무자비하게 테스트로 괴롭혀도 양해해 주시길, 즐거운 시간 보내세요.

이상호(search5)님이 2004-01-08 18:58에 작성한 댓글입니다.

데이터베이스 설계가 들어가게 된다면 - 예제를 가지고 하게 된다면 - pgsql의 특성을 최대한 살리는 예제를 가지고 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pgsql의 장점이 부각되게 말이죠.

 

예를 들자면 논리적 설계에서 슈퍼타입/서브타입 엔티티 모델링을 pgsql의 상속을 활용해서 모델링 하는 것이지요.

최연석님이 2004-01-11 13:46에 작성한 댓글입니다. Edit
[Top]
No.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5150PostgreSQL Replicator for 7.3.4 and 7.4 released
이상호
2004-01-11
1324
5149postgresql 에 대한 간단한 궁금증. [3]
이창훈
2004-01-09
1960
5148그놈의 DB 베이스 파일시스템 ㅎㅎ [1]
신기배
2004-01-08
1662
5147책을 쓸려고 하는데.. [5]
이상호
2004-01-08
2839
5146윈도우에서 native 접속을 위해 libpq.dll을 컴파일 하려고 하는데... [2]
이민철
2004-01-07
2049
5144참고 7.4.x intarray 모듈과 배열 = 연산 문제 [1]
김상기
2004-01-07
1756
5143pgsql.so 나 pgsql.dll 이 필요한데요.. ㅠㅠ [1]
하늘같이
2004-01-06
1738
Valid XHTML 1.0!
All about the DATABASE... Copyleft 1999-2024 DSN, All rights reserved.
작업시간: 0.019초, 이곳 서비스는
	PostgreSQL v16.2로 자료를 관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