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base.sarang.net
UserID
Passwd
Database
DBMS
MySQL
PostgreSQL
Firebird
Oracle
Informix
Sybase
ㆍMS-SQL
DB2
Cache
CUBRID
LDAP
ALTIBASE
Tibero
DB 문서들
스터디
Community
공지사항
자유게시판
구인|구직
DSN 갤러리
도움주신분들
Admin
운영게시판
최근게시물
MS-SQL Q&A 998 게시물 읽기
No. 998
디비 복구시 유저 세팅 문제입니다
작성자
초짜입니다
작성일
2003-10-25 13:58
조회수
5,173

ms-sql server 7.0 에서 백업을 가지고 복구를 하는데요

복구작업은 모두 성공적으로 끝났읍니다. 전혀 에러도 없었구요.

그런데 디비 유저를 보니 sa 빼고는 하나도 복구가 안되서 임의로 생성을 시도했읍니다만 이미 존재하는 유저라고 에러가 나오는군요.

refresh 도 몇번해봤지만 분명 sa 유저 빼곤 없는데 자꾸 이런 에러가 나옵니다.

 

도움 요청합니다.

감사합니다.

이 글에 대한 댓글이 총 1건 있습니다.

sp_change_users_login를 이용하여, 데이타베이스 사용자를 다른 ms-sql의 로그인과 매핑 정보를 변경해보시고요. 이것이 안 되면,

그 DB의 sysusers 테이블에서 관련 사용자를 삭제하시고, 새롭게 사용자를 추가해 보세요. 물론  먼저 MS-SQL의 로그인 정보는 생성되어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그 DB에 이전 사용자 계정으로 만들어진 Object가 있다면 sp_changeobjectowner로 owner를 변경하세요..

그리고 미리 말씀드리지만, sp_changeobjectowner는 ms-sql7.0에

있는지 기억이 잘 안나네요.(너무 3년 전에 한 번 사용했던 같기도

하고...) ms-sql2000에서는 확인을 했습니다.

 

참고 SP들

  1. sp_change_users_login

     데이타 베이스의 기본 사용자를 MS-SQL의 다른  로그인으로 매핑

  2.  sp_changedbowner

      데이타 베이스 소유자를 변경

  3. sp_changeobjectowner

     데이타 베이스 내, 관련 Object의 소유자 변경

 

관련 용어 정리 (MS-SQL에서)

  1. Ms-SQL 로그인

     외부에서 MS-SQL로 접근을 할 수 있는 계정에 대한 정보

  2. 데이타 베이스 사용자

     MS-SQL 로그인 중, 그 데이타 베이스에 접근을 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 로그인. 데이타 베이스 사용자명과 그 사용자가 사용하는 

     MS-SQL 로그인명은 다를 수 있음.(그래서 매핑을 한다고 함)

  3. 데이타 베이스(MS-SQL에서 말하는)

      데이타를 관리하는 한 DBMS내에서의 가장 큰 단위

      오라클의  테이블 스페이스와 비슷한 계념임. 따라서 한

       MS-SQL에  여러개의 데이타 베이스가 존재함.   

 

가을남자님이 2003-10-26 12:37에 작성한 댓글입니다. Edit
[Top]
No.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1001TABLE 동일하게 생성하는 방법 [2]
최혁천
2003-10-27
4739
1000이런것도 가능할까요? db에 대해 거의 몰라서... [1]
궁금함
2003-10-27
4231
999where절의 and문 중첩문제... [1]
ronin
2003-10-25
3966
998디비 복구시 유저 세팅 문제입니다 [1]
초짜입니다
2003-10-25
5173
997db 복구 문제 좀 봐 주세요.
거북이
2003-10-24
3845
996퍼스널 에디션이 엔터프라이즈 에디션 어디에 있나요? [2]
김권석
2003-10-23
3059
995확장자가 dsn인 파일은 도대체 어떤 프로그램에서 만들어진건지 궁금합니다. [1]
데이타맨
2003-10-22
3440
Valid XHTML 1.0!
All about the DATABASE... Copyleft 1999-2024 DSN, All rights reserved.
작업시간: 0.017초, 이곳 서비스는
	PostgreSQL v16.2로 자료를 관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