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 IP 서버에 큐브리드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기본 포트인 8001 8002 30000 33000 1523 에는 외부에서는 접속이 안되고,
포트 포워딩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다른 모든 기능은 정상적으로 동작하나,
큐브리드 매니져에서 포트번호가 수정되지 않는 곳이 있더군요.
브로커와 질의편집기에서 사용하는 30000, 33000 포트를 바꿀 수가 없습니다.
- 큐브리드 매니져로 외부에서 접속할 때, 사이트 정보의 포트번호인 8001을 포워딩 받은 포트로 변경하니 접속과 DB관리는 잘 됩니다.
- ADODC를 이용하여 외부 어플리케이션으로 DB에 접속을 할 때 브로커의 포트번호인 33000 를 포워딩받은 포트 번호로 바꿔서 접속하니 정상적인 서비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큐브리드 매니져에서 질의편집기를 불러오거나,
큐브리드 매니져에서 클래스의 스키마까지는 잘 보여지지만,
내용 조회를 이용해서 전체조회나 갯수조회를 하려고 하면 -2013 오류가 생깁니다.
그래서 조금 찾아보니 C:\\CUBRID\\Manager\\cmclient\\cubridmanager.ini 라는 파일 내부에
casport=30000
이라는 설정값을
포워딩 받은 포트로 바꿔 보았더니,
접속이 될 때도 있고, 안될 때도 있습니다.
접속이 될 때에는 질의편집기나 전체조회 둘 다 가능하고,
안될 때에는 둘 다 -2013 오류가 생깁니다.
접속이 안될 때에는 제가 워낙 여러가지를 시도해 보았는데,
서버 재부팅이나, 서비스 재시작, 브로커 재시작, 응용서버 재시작 등등
VC++등의 ODBC 에서 정상적으로 접속이 되는것으로 보아,
서버 문제가 아니라 큐브리드 매니져에서 변경된 포트번호를 잘 인식하지 못하는 듯 한데요.
혹시 포트 번호를 바꾸고 나서 꼭 해주어야 하는 작업.... 초기화나 적용작업같은것이 있나요?
.... 물론 이게 처음부터 정상적인 방법이 아니라는 사실은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도대체 왜 될때도 있고 안될때도 있는지라도 알고 싶네요....
|